여름철 간식 찰옥수수 ‘늦가을’에도 먹는다(농진청) 여름철 간식 찰옥수수 ‘늦가을’에도 먹는다 2011-07-25 - 찰옥수수 2기작 재배에서 지금이 후기작 파종할 때 - 농촌진흥청은 찰옥수수를 1년에 2번 재배하는 기술을 개발했으며,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수확 적기를 찾아냈다고 밝히고, 여름철 영양 간식인 찰옥수수를 늦가을에도 맛보기 위해서는 7월 하.. 텃밭정보 2011.07.28
논에 이런 작목 ‘함께’ 심어보세요(농진청) 논에 이런 작목 ‘함께’ 심어보세요 2011-05-24 - 쌀 단작 대비 콩+감자, 콩+옥수수 2모작이 소득 4배 이상 높아 - 농촌진흥청은 논에 콩 재배와 적합한 고소득 작물을 결합한 작부체계를 개발해 쌀 과잉생산․공급 수급에 기여했고, 이 기술을 농가현장에 직접 적용하는 농가실증사업을 추진해 기존의 벼.. 텃밭정보 2011.05.27
고구마 풍년농사는 건강한 ‘싹 기르기’ 부터(농진청) 고구마 풍년농사는 건강한 ‘싹 기르기’ 부터 2011-04-04 - 농진청, 고구마 육묘 단계부터 철저한 농사관리 당부 - 농촌진흥청은 최근 고구마 재배는 넓은 면적에 연작지가 늘면서 병해충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어 고구마 풍년농사를 위해 건강한 고구마 싹기르기를 당부했다. 씨고구마의 양은 보통 10a.. 텃밭정보 2011.04.07
‘물 관리’ 걱정 없이 베란다에서 채소 키우기(농진청) ‘물 관리’ 걱정 없이 베란다에서 채소 키우기 2011-03-24 - 심지관수방식으로 적정 물 공급해 깔끔 재배 가능 - 파릇파릇 새싹이 돋고 알록달록 꽃망울이 터지는 봄이다. 겨우내 창백했던 베란다에 녹색을 그려 넣는 건 어떨까? 봄을 맞이해 농촌진흥청에서는 베란다에서 재배하기에 적합한 채소 종류.. 텃밭정보 2011.03.25
품질 좋은 ‘블루베리’ 생산 비법(농진청) 품질 좋은 ‘블루베리’ 생산 비법 2011-02-11 - 알이 굵고 적정수량 확보 위해 결과지 화방 1/3 잘라야 - 농촌진흥청은 수확량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알도 굵은 블루베리를 생산할 수 있는 ‘가지치기 비법’을 내놓았다. 블루베리는 20세기의 슈퍼푸드로 선정된 고기능성 과일로, 특히 안토시아닌 함량.. 텃밭정보 2011.02.11
저장 중인 감자 ‘산소’가 필요해요 (농진청) 저장 중인 감자 ‘산소’가 필요해요 2011-01-31 - 농촌진흥청, 흑색심부병 예방 위한 감자관리법 발표 - 농촌진흥청은 지난 12월 이후 추운 날씨가 계속됨에 따라 저온저장고에 저장중인 감자에서 산소부족으로 인한 흑색심부병이 나타나고 있다는 민원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감자의 흑색심부.. 텃밭정보 2011.02.05
긴 겨울밤의 달콤한 간식 ‘고구마’(농진청) 긴 겨울밤의 달콤한 간식 ‘고구마’ 2011-01-11 - 군고구마는 물론 케이크, 피자, 닭갈비 등 용도 다양해져 - 겨울 밤거리를 걷다보면 여기저기서 풍겨 나오는 구수한 군고구마 냄새에 입맛을 다셔본 기억이 누구에게나 있을 것이다. 겨울하면 생각나는 고구마는 겨울철 훌륭한 간식거리이다. 1763년 국내.. 텃밭정보 2011.01.20
사과 꽃눈분화 확인 후 ‘가지치기’ 하세요(농진청) 사과 꽃눈분화 확인 후 ‘가지치기’ 하세요 2011-01-12 - 꽃눈 적정수량 확보해야 고품질 사과생산 가능 - 농촌진흥청은 겨울철 사과나무 가지치기시 평년에 비해 결과지(사과가 달리는 가지)를 많이 남겨둘 것을 당부했다. 이번 겨울 사과나무의 꽃눈분화율을 조사한 결과 평년에 비해 40~50%로 현저히 .. 텃밭정보 2011.01.14
고랭지농업 재도약을 위한 기능성 신작물 개발 박차(농진청) 안데스의 기능성을 고랭지로 2010-11-11 - 고랭지농업 재도약을 위한 기능성 신작물 개발 박차 -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센터는 아직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은 안데스 고산지대 작물을 도입하여 국내 고랭지에 유망한 새로운 소득 작물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마란스, 퀴.. 텃밭정보 2010.11.12
재배·생리-종구선택 및 파종방법(농진청) 1. 품종 선택 마늘은 지금까지 인편이나 주아 등 영양기관을 이용하여 번식을 하여 왔는데, 한 지역에서 오랫동안 마늘을 재배하면서 그 지역의 환경이나 풍토에 적응된 품종만이 주 품종으로 자리잡게 됨으로서 하나의 생태적 품종으로 되었다. 따라서 처음 품종을 선택할 때에는 그 지방의 기상이나.. 텃밭정보 2010.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