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풋옥수수 잎이 7~8개 나왔을 때 웃거름 주세요!” (농진청) “풋옥수수 잎이 7~8개 나왔을 때 웃거름 주세요!” 2014-05-21 - 웃거름만 제때 줘도 알맹이 크고 꽉 차 -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식용 풋옥수수 재배 시 잎이 7~8개 나왔을 때 웃거름을 주면 알맹이 크기가 균일한 품질 좋은 옥수수를 생산할 수 있다고 밝혔다. 옥수수는 싹이 트는 시기에.. 텃밭정보 2014.05.23
기름 함량 높은 착유용 들깨‘다미’개발 기름 함량 높은 착유용 들깨‘다미’개발 2014-05-23 - 재배 안정성 높고 수확량 많아 … 종자 증식 후 내년 보급 -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재배 안정성이 높고 수확량이 많은 착유용 들깨 새 품종 ‘다미’를 개발했다. ‘다미’는 수확량이 10a(991㎡)당 142kg정도로 기준 품종인 새엽실의 .. 텃밭정보 2014.05.23
농촌진흥청, 수량 많은 흰 참깨‘건백’개발 수확량 가장 많은 새로운 품종의 참깨 나왔다 2014-04-24 - 농촌진흥청, 수량 많은 흰 참깨‘건백’개발 -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국내 최고 수량의 참깨 ‘건백’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건백’ 참깨의 수량은 10a당 119㎏으로 현재 개발한 참깨 품종 중 가장 수확량이 많다. 또한, 키가 1.. 텃밭정보 2014.04.30
농촌진흥청, 소비자의 양파·마늘 구매패턴 분석결과 발표 양파즙은 6∼7월, 마늘 가공식품은 명절에 많이 팔려 2014-04-28 - 농촌진흥청, 소비자의 양파·마늘 구매패턴 분석결과 발표 -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양파, 마늘 소비촉진과 농가의 판매 전략에 활용할 수 있는 『소비자의 양파·마늘 구매패턴』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소비자 가구의 .. 텃밭정보 2014.04.30
농촌진흥청, 수량 많은 흰 참깨‘건백’개발 수확량 가장 많은 새로운 품종의 참깨 나왔다 2014-04-24 - 농촌진흥청, 수량 많은 흰 참깨‘건백’개발 -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국내 최고 수량의 참깨 ‘건백’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건백’ 참깨의 수량은 10a당 119㎏으로 현재 개발한 참깨 품종 중 가장 수확량이 많다. 또한, 키가 1.. 텃밭정보 2014.04.25
봄철 기온상승으로 사과 접목활착률 낮아질 수 있어 봄철 기온상승으로 사과 접목활착률 낮아질 수 있어 2014-04-07 - 접목 전 사과 대목 뿌리 일부 잘라내야 -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3월 하순 기온이 예년에 비해 높아 사과나무 뿌리 활동이 활발한 상태에서 사과묘목 생산을 위해 봄에 깎기접목을 하면 접목활착률이 낮아질 수 있으므로 .. 텃밭정보 2014.04.09
오늘 밥상엔 기능성 풍부한 채소 어떠세요? 오늘 밥상엔 기능성 풍부한 채소 어떠세요? 2014-04-01 - 농촌진흥청, 건강에 좋은 기능성 배추·양파 소개 - 참살이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되고 있는 가운데 참살이 중에서도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특히 높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국민 건강 차원에서 건강에 좋은 기능성 양파와 .. 텃밭정보 2014.04.04
돌발해충은 초기 대응이 중요 돌발해충 발생량 증가로 농작물 큰 피해 우려 2014-03-26 - 돌발해충은 초기 대응이 중요 -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겨울 동안의 평균온도가 약간 높아짐에 따라 농작물 병해충의 발생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하며 농작물 피해 최소화를 위해 발생초기에 철저한 방제가 필요하다고 말했.. 텃밭정보 2014.03.27
농촌진흥청, 가정에서 한약재 보관하는 방법 제시 요리용 한약재, 어떻게 보관하세요? 2014-03-26 - 농촌진흥청, 가정에서 한약재 보관하는 방법 제시 - 요즘은 건강을 위해 한약재를 구입하는 가정이 늘고 있는데 구입 후 어떻게 보관하면 가장 좋을까.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봄철 약선요리 등을 만들기 위해 가정에서 한약재를 즐겨 찾.. 텃밭정보 2014.03.27
배나무 ‘꼬마배나무이’ 방제시기 정확해야 효과 있다 배나무 ‘꼬마배나무이’ 방제시기 정확해야 효과 있다 2014-02-20 - 남해안 2월 20일, 나주 등 2월 23일, 경북 내륙 등 2월 말 -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에서는 지난 겨울 날씨가 예상보다 온화해 월동 해충이 많이 살아있을 수 있으며, 특히 배 과수원의 꼬마배나무이는 생존능력이 높기 때문.. 텃밭정보 2014.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