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 전기작업 - 전기 및 전등 배선 등>
다용도실 천정 전기 및 전등 배선
주방 천정 전기 및 전등 배선
현관 전등 배선
현관외부, 주방남측 및 서측 외부 전등, 등
당초 지난 주말엔 창고동 지붕에 슁글작업을 할 예정이었으나 토요일과 일요일에 기상청 동네예보에
비소식이 예보되어 주말마다 함께 작업하시는 어르신에게 한주를 쉬도록 전화를 드렸다.
대신 혼자서 천천히 생각을 하면서 천정에 전기작업을 하고 돌아왔다.
천정공사를 시작하기 앞서 천정에 정기 및 전등 배선작업을 하기로 하였다.
전선관은 22mm, 16mm 전선관을 사용하되 주 전선관은 22mm로 설치하고 사용빈도가 적은 곳에는
16mm 전선관을 사용하였다.
배전함에 누전차단기(15A)는 총 18개를 설치하였다.
누전차단기 9개에 배선용 차단기(50A)한개씩 양쪽에 2개를 설치하였다.
전등선에 사용할 누전차단기는 5개(다락 및 방 2, 거실, 주방, 다용실 및 화장실, 현관 및 외부등)와
나머지는 에어컨 2, 전열교환기, 전기쿡탑, 각 실별 콘센트에 사용하는데 11개를 사용하고 나머지
2개의 누전차단기는 예비용으로 둘 계획이다.
주방에 설치할 에어컨과 전열교환기는 전기가 많이 소비되는 관계로 별도의 전기선을 사용하여
개별 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별도 배선작업을 하였다.
랜지후드 환풍기, 화장실 환풍기 등에 들어갈 전기는 전기 소비가 적어 주방. 다용도실, 현관, 화장실
천정에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1개의 전선관으로 여러곳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배선작업을 하였다.
주방, 다용도실, 화장실, 현관까지는 한개의 전기선으로 전등 배선 작업을 하였으나 15A 누전차단기 1개로는
용량이 부족할것 같다는 판단이 들어 과부하를 줄이기 위해 현관등, 남쪽과 서쪽 외부등, 현관 외부등에
들어갈 전기선을 별도의 전등배선 작업을 사용하였다.
그래도 주방과, 다용도실, 화장실에 사용하는 전등을 한개의 누전차단기에 모두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을것 같아 이번 주말에 주방부분에만 별도의 누전차단기(전기선)을 분리하는 배선 작업을 해야겠다.
전등선을 입선하는데 자꾸만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생긴다.
1구 전등선 입선과 2구 이상의 전등을 한개의 스위치로 입선하는 방법은 쉽게 이해가 가지만
2구 이상의 전등을 별개의 스위치에 입선하는 방법은 몇번을 봐도 이해가 가지 않는다.
색상별 전기선이 부족하여 부득이 전등선에는 적색을 스위치 공통선으로 검정색을 등 공통선으로
나머지 파란색과 노란색, 흰색 등은 스위치 선으로 사용하였다.
콘센트에 들어갈 전기선은 검정선과 백색선은 전기선으로 하고 접지선은 녹색선이 부족하여 청색선을
접지선으로 사용하였다.
나중에 시간이 지나면 기억이 희미해서 문제가 발생할 듯 싶다.
콘센트에 결선작업을 하거나, 스위치에 결선작업을 할때 각 전기선에 라벨지를 용도와 이름을 붙여야겠다.
모든 전선관은 난연제품을 사용하였으며 주로 22mm전선관을 사용하였으며, 16mm전선관은 외부전등선 및
CCTV선, 인터넷선 등이 들어가는 곳에 사용을 하였다.
노란색 전선관은 전등선이 들어가는 전선관으로 사용하고, 적색 및 청색 전선관은 전기선이 들어가는
전선관으로 사용하였다,
나중에는 전선관이 부족하여 이것저것 가리지 않고 그냥 되는대로 사용하였다.
주말에 안방과 작은방, 다용도실, 화장실, 주방과 현관에 들어갈 전등공사를 하였다.
한주만 더하면 거실전등공사와 콘센트에 들어갈 전기공사를 마무리 할 수 있을것 같다.
'혼자서 온몸으로 집짓기(2020)'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홀로 집짓기(토지정보공사 건물 측량신청 등) (0) | 2017.08.02 |
---|---|
나홀로 집짓기(부속창고 짓기-지붕 슁글 공사 등) (0) | 2017.07.24 |
나홀로 집짓기(부속건물 창고 짓기-2) (0) | 2017.07.10 |
나홀로 집짓기(내부공사 - 다락, 거실 벽체 설치작업) (0) | 2017.07.03 |
나홀로 집짓기(내부공사- 거실 천정 보강재 설치, 침실 천정 공사) (0) | 2017.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