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주간농사정보

주간농사정보 제6호(2011.01.30~2011.02.05)

코코팜1 2011. 2. 1. 13:28

 

 

 기상전망(2.1~2.28)

요약

 

  ○ 2월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으나 한기남하로 두세 차례 강한 추위가 나타나겠음

  ○ 서해안과 강원 영동 산간지방에는 눈이 오는 곳이 있겠으나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겠음


날씨 전망

 

  ○ 2월 상순에는 기온이 평년보다  낮겠고, 한두 차례 강한 추위가 나타나겠음. 서해안과 강원 영동 산간지방에는 눈이 오는 곳이 있겠으나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겠음

  ○ 2월 중순에는 추위가 나타날 때가 있겠으나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 2월 하순에는 기온의 변동폭은 크겠으며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비가 오는 곳이 있겠으나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순별예보

 

순별

평 균 기 온

강 수 량

2월 상순

 평년(-4~7℃)보다 낮겠음

 평년(3~14㎜)보다 적겠음

2월 중순

 평년(-2~8℃)과 비슷하겠음

 평년(7~34㎜)보다 적겠음

2월 하순

 평년(-1~8℃)과 비슷하겠음

 평년(9~31㎜)과 비슷하겠음


 

 

 축산

구제역 예방

 

 

  ○ 정부는 최근 구제역 확산과 관련하여 12.29일 가축질병 위기경보 단계를 현재의 『경계(Orange)』단계에서 최상위 단계인『심각(Red)』단계로 격상함에 따라 구제역 발생지역 뿐만 아니라 발생하지 않은 다른 지역에서도 발생지역과 동일한 수준으로 차단방역을 철저히 한다.

  ○ 축사 안팎과 기구는 발생지역에서는 매일, 비발생지역은 최소한 1주일에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소독을 실시하고, 작업화와 작업복은 청결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 농장주와 농장 내 근무자가 외출 후 축사에 들어갈 때에는 샤워 후 농장 내 전용 옷과 신발로 교체하여 착용하고 출입해야 한다.

  ○ 그리고 농장내 출입하는 모든 차량과 사람에 대해서는 반드시 소독을 하고 기록을 하여야한다.

  ○ 차량을 소독할 경우에는 바퀴, 차체, 운전석 등을 전체적으로 소독하고, 운전자에 대해서도 반드시 소독 조치를 하여야 한다.

  ○ 구제역 바이러스가 사람이나 차량 등을 통해서 전파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축산농가는 각종 교육이나 모임, 회의 등 많은 인원이 모이는 장소에는 가급적 가지 마시고, 다른 농가와의 접촉을 최대한 하지 않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 또한 구제역 발생 국가에는 가급적 여행을 자제하고, 이들 국가를 여행한 경우에는 입국시 공항에서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 반드시 신고해야 한다.

  ○ 그리고 부득이 해외여행을 가더라도 외국의 축산농장을 방문하지 말고, 입국을 한 후 5일 이내에는 축사에 출입하지 않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참고2>

‘구제역 관련 Q&A’

 문1】구제역은 왜 위험한가?

구제역(FMD : Foot-and-Mouth Disease)은 소, 돼지, 사슴 등과 같이 발굽이 둘로 갈라진 동물에서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급성 가축전염병으로 제1종 가축전염병(인수공통전염병은 아님)

 ○ 병원체는 구제역 바이러스이나 섭씨 50℃이상의 온도에서 파괴되고 강산이나 강알칼리(pH 6이하 또는 9이상) 조건에서 쉽게 불활화됨(56℃에서 30분, 76℃에서 7초 가열시 사멸됨)

 ○ 잠복기는 보통 2내지 8일 정도로 짧으며, 최대 14일

     * 생존기간 : 의복·신발(여름 9주, 겨울 14주), 사료(7∼28주), 분뇨(2∼11주), 돼지 근육(냉장 10일, 냉동 90일), 소 근육(냉장 2∼3일, 냉동 10일 이하)

 ○ 주요 증상으로는 입술, 잇몸, 구강, 혀, 코, 유두 및 발굽 사이에 물집(수포)이 형성되고, 보행 불편, 유량 감소 및 식욕저하 등으로 심하게 앓거나 폐사

구제역 바이러스는 전파속도가 너무 빠르고, 가축의 새끼는 50% 이상의 폐사를 보이며, 젖소의 경우 우유 생산량이 줄기 때문에 경제적인 손실을 끼침

 

문2】예방접종을 전국으로 확대한 이유는 무엇인가?

□ '10.11월말 경북 안동 양돈농가에서 구제역 최초 발생 후, 7개 시·도    55개 시·군에서 총 124건이 발생(1.20일,  08시 기준)하여 감염     가축 매몰처분과 예방접종을 병행하여 추진 중

 ○ 1월 12일 대통령님 주재 대책회의에서 전국으로 예방접종을 확대하는 선제적 조치를 통해 구제역의 추가확산을 막고, 살처분을 최소화하기로 결정

    - 제11차 가축방역협의회(1.13)에서 예방접종의 우선순위 등 구체적 방안을 논의하고 결정

      * ①전국(제주제외)의 모든 소 및 전국 종돈장의 돼지 , ②전국의 모든 모돈, ③돼지 비육돈의 순서

현재까지(1월17일) 호남, 경남, 제주에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고 있으며, 구제역 확산의 선제적 차단을 위해 전국에 대한 예방접종을 시행 중에 있음

      * 전북 일부지역(정읍, 김제, 익산, 부안, 군산)에 대해서는 지난 1월 8일부터 우선 백신접종을 실시


 

문3】예방접종 결정 시기가 늦은게 아닌가?

구제역 발생시 △방역원칙상 그리고 △그동안 구제역 발생시 우리나라의 사례나, △EU 등 선진국의 경우에도 매몰처분 원칙으로 하고 있음

 ○ 백신 예방접종을 가급적 자제해 오고 있었으나, 이번의 경우 여러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빠르게 구제역이 확산됨에 따라,

 ○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비상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가축방역협의회 등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을 통해 예방접종을 실시한 것임

  * 11.28일 발생 이후 11차례의 가축방역협의회, 4차례의 전문가 소위 등을 개최, 예방접종 문제를 협의

백신 접종시 발생 양상(오염정도)과 지형적 여건, 구제역 청정국 회복 여건 등을 고려하여 접종시기 및 접종대상 지역 등을 결정하였음

 ○ 현재까지(1월17일) 호남, 경남, 제주에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고 있으며, 구제역 확산의 선제적 차단과 비발생 지역의 보호를 위해 전국에 대한 예방접종을 시행 중에 있음


문4】예방접종을 할 경우 축산물의 수입을 막을 수 없다는데

      사실인가?

□ 국가간 축산물교역은 양국간에 체결하는 축산물 수입위생조건으로 정하게 됨

 ○ 우리나라의 경우 전면적인 예방접종이 아니고 2차 감염방지를 위한 제한적 범위에서 예방접종을 하고,

   - 예방접종과 함께 구제역 감염가축에 대한 매몰처분을 동시에 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나라의 축산물을 무조건 허용하게 되지는 않음

 ○ 또한, 국가간 축산물 교역은 구제역뿐만 아니라 수출국의 위생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제한을 둘 수 있음


문5】구제역 예방접종을 실시했다가 실패한 사례도 있다던데,

      대책은 있는가?

□ 대만의 경우 ‘97년 전국적 발생으로 백신을 접종함

 ○ ‘01년까지 발생되었으나 그 이후 추가 발생이 없어 ’04년에 백신접종 청정국 지위를 획득 하였으나, ‘09년에 재발되어 현재까지 청정국 지위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음

모든 예방접종 가축은 ‘쇠고기 이력관리 시스템’을 통해 철저하게 관리됨

 ○ 예방접종 소에 대해 이동시 반드시 혈청검사를 통해 자연감염 여부를 확인하게 되며, 자연감염으로 인해 항체가 형성된 소에 대해서는 매몰처분하여 전염원(Carrier)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게 됨


문6】예방접종 후 이동제한 해제는 어떻게 달라지는가?

예방접종 실시 여부와 관계없이 마지막 발생농장(500m 또는 3km이내 매몰시 해당농장 포함)의 매몰이 끝난 날부터 3주가  경과한 후 이동제한 해제

    * 발생농장에는 역학 관련 또는 임상증상 관련, 예방 매몰후 양성 확인농장을 포함


❍ 경계 지역부터 임상검사 및 혈청검사를 하여 이상이 없으면 이동제한을 해제하고

 ❍ 이후, 위험지역에 대해 검사를 실시하여 이동제한 해제

마지막 발생농장의 매몰이 끝난 날부터 3주가 경과되지 않아도 예방접종을 실시한 경우에는 축종별(소, 돼지)로 1차 접종이 완료된 날부터 1개월 경과한 후 이동제한 해제

 ❍ 경계 지역부터 임상검사 및 혈청검사를 하여 이상이 없으면 이동제한을 해제하고

 ❍ 이후, 위험지역에 대해 검사를 실시하여 이동제한 해제


이동제한 해제를 위한 검사대상 및 두수, 검사 기관, 절차 등은 수의과학검역원에서 시달한 “이동제한 해제 검사지침”에 따름


문7】예방접종을 한 가축은 어떻게 관리되며, 시중에 유통되는가?


향후 이동제한 지역 내에서 예방접종을 실시한 가축에 대해서는 구제역 검사를 실시하여 문제가 없는 경우 이동제한을 해제할 계획에 있으며,

 ○ 이동제한 해제 이후에도 OIE(세계동물보건기구)의 청정국 지위회복 요건에 따라 쇠고기 이력추적시스템을 이용한 개체별 이동경로 파악 등 방역관리를 지속적으로 실시할 계획임


 문8】예방접종을 한 고기는 먹어도 인체에 무해한가?

□ 구제역은 소․돼지 등 발굽이 두 개로 갈라진 가축  에게만 발생하며, 사람에게는 전염되지 않는 질병

□ 아울러, 구제역 백신은 바이러스를 죽인 백신(사독백신) 이므로 접종하더라도 가축의 몸속에 바이러스가 존재하지 않음

 문9】설 성수기 대비 축산물 수급안정 대책은?

□ 설 명절 대비 육류 가격안정대책을 마련 추진 중

 ○ 구제역 발생에 따라 폐쇄된 17개 도축장 중 경계지역에 포함된 13개 도축장에 대해 위험성을 평가하여 철저한 소독을  걸친 후 개장토록 조치(1.4)

   * 1.6일 현재 7개소 개장, 4개소 개장 준비중

   - 가축 이동제한 조치 지역의 경계지역(3~10km)내 이상이 없는 가축 수매를 통한 설 성수기 공급 추진 등

 ○ 다양한 할인 행사 실시 및 직거래 확대

   - 농협 등 대형유통점을 통한 할인(20~30%) 판매 실시

   - 상설 직거래장터, 이동차량 판매 확대 등

 ○ 농협 계통조직을 통한 계통출하 물량 확대 등

     * 걔통출하물량 : (평시) 800두/일 → (대책기간) 2,000

◦ 사육두수 : (‘02.3) 1,371천두 → (‘09) 2,477→ (’10.12) 2,762

전국경매가격 : ('10.1)17,548원/kg→(‘10.12)14,900→(’11.1.6)16,401

쇠고기 수입량 : (‘03) 294천톤→ (‘09) 198 → (’10) 245


 문10】예방접종을 하면 소독 등 방역활동은 중단되나?

□ 예방접종을 하더라도 철저한 차단방역이 필요함

 ○ 예방접종을 하더라도 예방접종 후 면역이 형성(2주  소요)되기 전에는 감염이 가능하고 돼지는 예방접종을 하지 않기 때문임

 ○ 따라서, 구제역 발생시의 소독 및 외부인․차량 통제 등 차단방역이 필요함

정부는 구제역 비 발생지역발생지역에 준하는 방역조치를 강화하고, 이를 위해 예산 351억원을 지원


문11】예방접종 지역 내에 구제역이 추가로 발생할 경우 어떤 조치가   이루어지며, 살처분 최소화 방안은?

□ 예방접종 지역 내에서 구제역이 발생될 경우 다음과  같은 방역조치를 취함

 ① 예방접종 중 구제역 발생시 발생 농장을 중심으로 반경 500m내의 우제류 농장 중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농장의 가축에 대해서만 매몰 처분함

 ② 예방접종이 완료된 후에는 발생농장만 매몰 처분함

 ③ 역학조사 결과 예방접종 지역 내에 고위험군 농가가 있을 경우 해당농가 우제류 동물에 대하여 매몰 처분함

살처분 최소화를 위해 예방접종 후 14일이 경과된 농장(항체 형성농장)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역조치를 취함

 ① (소)감염된 개체 및 예방접종 후 태어난 송아지만 살처분

 ② (돼지)모돈은 감염된 개체 및 예방접종 후 태어난 자돈 전부를 살처분하며, 비육돈은 감염된 돼지가 사육되고 있는 농장의 돼지 전부를 살처분함

   - 다만 종돈장의 비육돈은 감염 돼지가 사육되고 있는 해당 “돈방”의 돼지만을 살처분함

문12】예방접종을 하더라도 구제역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구제역 백신은 예방접종후 1주일후 77%, 10일 뒤 86% 수준 항체 형성을 보이고 있어 2주가 되면 거의 항체가 형성되는 것으로 보고 있음

 ○ 다만, 가축의 몸에서 항체가 형성되기 이전에 구제역 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 구제역이 발병할 수도 있음


문13】예방접종을 실시한 가축에 부작용이 발생할 경우 보상조치는?

예방접종 후 해당 가축에게 유․사산, 부상, 폐사 등이 발생할 경우 가축병역관이 연관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보상 여부를 결정함

 ○ 백신은 안전하나 접종과정에서의 스트레스 등으로 가축에게 폐사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 조사 결과 백신으로 인한 사고라고 판단되면 유․사산된 태아 및 해당 가축 등에 대해 시가로 보상함

문14】구제역 살처분 최소화를 위해 조속한 수매실시가 필요   하지 않나?

전국 예방접종 실시에 따른 여건 변화를 감안, 예방접종을 실시한 발생지역의 가축에 대해 수매시기 조정함

 ❍ 예방접종으로 항체가 형성되고 수매 가축은 검사를 실시한 후 출하되기 때문에 수매시기 단축에 따른 위험도는 낮다고 판단

 ❍ 다만, 축종별로 예방접종을 순차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상황과 항체 형성기간을 감안하여 조정 필요

 수매 시기는 원칙적으로 마지막 매몰일부터 2주가 경과한 후로 하되, 예방접종을 실시한 경우에는 축종별로 예방접종 완료일부터 2주가 경과한 후로 조정

  [현행] 마지막 매몰 일부터 2주가 경과한 후, 수매 개시

  [조정] ①마지막 매몰 일부터 2주가 경과한 후, 수매를 개시하되

        ②예방접종 실시지역은 마지막 매몰 일부터 2주가 경과하지 않아도 축종별로 예방접종 완료일부터 2주가 경과한 후, 수매 개시

         - 다만, 1.31까지는 경계지역에만 2.1부터 위험지역까지 적용


문15】예방접종 후 청정국 지위를 회복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세계동물보건기구(OIE) 규정에 의하면 예방접종시 구제역 발생 상황이 종료된 후 6개월이 지나면 청정국 지위 회복 신청을 할 수 있게 되어 있음

 ○ 이것은 예방접종 없이 매몰처분하는 경우의 3개월 경과기간보다 3개월이 더 소요되는 것임

향후 정기적으로 구제역 백신을 접종할 경우 세계동물보건기구(OIE) 규정에 따라 “예방접종을 실시하는 청정국”으로 인정받을 수 있음

 ○ 과거 2년 동안 구제역 발생이 없어야 하며,

 ○ 예찰을 통해서 과거 12개월 동안 구제역 바이러스가 없다는 것이 증명되어야 함

    * 예방접종 구제역 청정국 : 우루과이

□ 구제역 접종과 병행하면서 철저한 방역관리를 통해서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최대한 조기에 구제역 청정국 지위를 회복할 수 있도록 하겠음

16】국내 축산 여건에서는 상시 예방접종이 필요하지 않나?

상시 예방접종 실시와 관련해서는 국내 축산업 여건 뿐만 아니라 국내 구제역 발생상황 및 백신 접종에 따른 장담점 분석 등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하므로,

  ○ 향후 전문가 의견 등을 들어 상시 예방접종에 대한 필요성 등을 검토할 계획임

<참고3>

방역기관 연락처


□ 농림수산식품부

기  관  명

주      소

우편

번호

연락처

관할지역

농림수산식품부

경기도 과천시 중앙동 1번지

427-719

02

FAX

500-2072/2084

504-0908

전국


□ 국립수의과학검역원

기  관  명

주      소

우편

번호

연락처

관할지역

국립수의과학검역원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6동 480

430-824

031

FAX

467-1940/2

467-4373/1729

 전국

□ 시․도

시도명

담당부서

전화번호

FAX번호

서울특별시

생활경제담당관

02-6321-4069

 3737-9399

부산광역시

농축산유통과

051-888-3231

888-3209

대구광역시

농식품과

053-803-3461

803-3439

인천광역시

농식품유통과

032-440-4392

427-0700

광주광역시

농산유통과

062-613-3983

613-3969

대전광역시

농업유통과

042-600-5445

600-2279

울산광역시

농축산과

052-229-2933

229-2919

경기도

축산과

031-249-2652

249-2658

강원도

축산과

033-249-2728

249-4042

충청북도

축산과

043-220-3943

220-3919

충청남도

축산과

042-251-2871

251-2729

전라북도

축산경영과

063-280-2653

280-2729

전라남도

축정과

061-286-6552

286-4787

경상북도

축산경영과

053-950-2683

950-2659, 2689

경상남도

축산과

055-211-3695

211-3659

제주특별자치도

축정과

064-710-2152

710-2129

□ 시․도 가축방역기관

기  관  명

주      소

우편

번호

연락처

관할지역

서 울 특 별 시

보건환경연구원

축  산  물  부

경기 과천시 용머리2길 18

137-734

02

 

FAX

570-3435

   -3238

570-3206

서울

부 산 광 역 시

보건환경연구원

축산물위생검사소

부산 북구 금곡동 490-1

616-810

051

 

FAX

331-5012

888-6819

338-8266

부산

대 구 광 역 시

보건환경연구원

가축위생연구부

대구 수성구 지산동 777

706-090

053

 

FAX

760-1300

    1304

760-1302

대구

인 천 광 역 시

보건환경연구원

가축위생시험소

인천 서구 가좌1동 583-1

404-812

032

 

FAX

440-5490

440-5642

576-7785

인천

광 주 광 역 시

보건환경연구원

가축위생연구부

광주 북구 본촌동 379-2

500-210

062

 

FAX

571-0497

    0498

   -0496

광주

대 전 광 역 시

보건환경연구원

가축위생연구부

대전 유성구 구성동 21-1

305-338

042

 

FAX

870-3480

   -3485

870-3489

대전

울 산 광 역 시

보건환경연구원

가축위생시험소

울산 울주군 삼남면 방기리 26-3

689-813

052

FAX

229-5240/1

229-5249

울산광역시


기  관  명

주      소

우편

번호

연락처

관할지역

  축

경산

  위

기생

  연

도구

  소

본   소

경기 수원시 권선구 금곡동 746-15

441-460

031

 

FAX

8008-6270

8008-6272

8008-6247

수원,안양,부천

안산,과천,시흥

군포,의왕,김포 

성남,오산,화성

광명

동부지소

경기 이천시 진리동371-4

467-060

031

FAX

8008-6360

8008-6365

636-3676

하남, 여주

광주, 이천

양평

남부지소

경기 안성시 공도면 만정리 274-10

456-820

031

FAX

8008-6340

8008-6359

651-1614

용인, 평택

안성

제2가축위생 연구소본소

경기 양주시 고읍동 340-1

482-020

031

FAX

8008-6430

8008-6432

820-0204

의정부, 동두천, 양주,연천,고양

파주

제2가축위생

연구소북부지소

경기 남양주시 화도읍 가곡리 177-1

472-840

031

FAX

8008-6470

8008-6471

593-4012

남양주,구리 가평,포천

  가

강축

  위

원생

  시

도험

  소

본    소

강원 춘천시 신북로 196

200-822

033

FAX

248-6622/5

248-6617

춘천,철원

화천,양구

동부지소

강원 강릉시 장현동 74-7

210-180

033

FAX

610-8702/5

610-8722

강릉,동해

삼척,태백

남부지소

강원 원주시 반곡동 1098-2

220-170

033

FAX

761-1880/1

   -1890

원주,홍천

횡성

중부지소

강원 평창군 평창읍 제방리 15-8

232-802

033

FAX

339-8855

333-8866

영월,평창

정선

북부지소

강원 속초시 장사동 649-3

217-130

033

FAX

636-8581

636-8582

인제,고성

속초,양양

  축

충산

청위

북생

도연

  구

  소

본    소

충북 청원군 내수읍 구성리 420

363-931

043

FAX

220-5571/2

220-5589

청주,청원

북부지소

충북 충주시 금릉동 187-12

380-230

043

FAX

220-5620/1

220-5629

충주,음성

제천지소

충북 제천시 고양동 145-20

390-090

043

FAX

220-5641

220-5649

제천,단양

남부지소

충북 영동군 영동읍 동정리 39

370-880

043

FAX

220-5631

220-5639

보은,옥천

영동

  가

충축

청위

남생

도연

  구

  소

본    소

충남 홍성군 금마면 송강리 52-1

350-821

041

FAX

631-3091/4

631-3092/3

보령,청양

홍성

아산지소

충남 아산군 배방면 세교리 432-1

337-850

041

FAX

548-2950

548-2954

천안,아산

공주지소

충남 공주시 금홍동 190-10

314-140

041

FAX

881-0127

881-0129

공주,금산

연기

당진지소

충남 당진군 용연리 854

343-803

041

FAX

352-4056

357-5850

예산,당진

서산,태안

부여지소

충남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89

323-808

041

FAX

833-8611

830-2784

논산,부여

태안지소

충남 태안군 태안읍 인평리 213-1

357-908

041

FAX

675-4349

675-4348

태안,서천

기  관  명

주      소

우편

번호

연락처

관할지역

  축

전산

라위

북생

도연

  구

  소

본    소

전북 전주시 완산구 효자3동  1052-1

560-860

063

 

FAX

220-6530

220-6520

220-6511

전주,완주

김제,부안

남원지소

전북 남원시 식정동 475-1

590-230

063

FAX

290-6571

290-6598

남원,임실

순창

정읍지소

전북 정읍시 북면 한교리 1572-1

580-814

063

FAX

290-6542

290-6568

정읍,고창

익산지소

전북 익산시 월성동 309-7

570-390

063

FAX

290-6512

290-6538

군산,익산

장수지소

전북 장수군 장계면 금덕리 637

597-841

063

FAX

352-9876

352-9877

무주,진안

장수

  축

전산

라기

남술

도연

  구

  소

축산기술

연구소본소

광주 광산구 복룡동 89-5

506-555

062

FAX

941-2577/8

   -3667

목포,나주,담양

화순,무안,함평

영광,장성,신안

동부지소

전남 순천시 가곡동 974-1

540-080

061

FAX

755-6396

751-1045

순천,여수,광양

보성,구례,곡성

고흥

남부지소

전남 강진군 강진읍 서성리 71

527-805

061

FAX

432-8938

434-8171

강진,영암

해남,완도

진도,장흥

  가

경축

상위

북생

도시

  험

  소

본   소

대구 북구 학정동 859-3

702-210

053

FAX

326-0012/3

   -0014

구미,칠곡

군위,성주

고령,경산

영천,청도

북부지소

경북 안동시 풍산읍 상리리 500-12

760-803

054

FAX

850-3285

   -3289

안동,영주

의성,청송

영양,봉화

동부지소

경북 경주시 동천동 143

780-933

054

FAX

748-6624

748-6685

경주, 포항,

영덕, 울진,

울릉

서부지소

경북 상주시 외답동 476-1

742-320

054

FAX

533-1752

532-4966

김천,상주

문경,예천

  축

경산

상진

남흥

도연

  구

  소

본   소

경남 진주시 초전동 423

660-360

055

 

FAX

750-6341/3

750-6339

진주,사천

산청,하동 함양,남해

중부지소

경남 장유면 부곡리 17-8

641-041

055

FAX

211-5770/3

211-5779

창원,마산

진해,김해

함안

북부지소

경남 합천군 합천읍 합천리 307-1

678-800

055

FAX

931-3245 

930-3865

합천,거창

의령,창녕

남부지소

경남 통영시 도산면 원산리 900-1

650-810

055

FAX

646-4395

640-4987

통영,거제

고성

제주특별자치도

동물위생시험

제주 제주시 초전읍 와흘리 782

690-962

064

FAX

754-5441

710-4139

제주


<참고4> 

구제역 바로알기

- 구제역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 바로알면 극복할 수 있습니다 -


1. 구제역은 어떤 질병인가요?

 ☞ 인수공통전염병이 아니므로 사람에게 전염 안 됨

  ○ 바이러스성 급성 가축전염병(제1종 가축전염병)

  ○ 소, 돼지, 양, 염소, 사슴 등과 같이 발굽이 둘로 갈라진 동물(우제류)에서 발생


2. 시중에 유통되는 소고기, 돼지고기는 먹어도 안전한가요?

 ☞ 바이러스는 열에 약해 쉽게 죽어 안전함

  ○ 구제역 바이러스는 56℃에서 30분, 76℃에서 7초간 가열을 가하면 죽음. 따라서 조리된 고기나 살균처리 된 우유는 모두 안전함

  ○ 고기 예냉과정에서 산도(pH)가 낮아져 바이러스는 자연히 죽음.

   구제역 바이러스는 pH 6이하, pH 9이상에서 사멸

3. 구제역에 감염된 가축의 유통 가능성은?

 ☞ 철저하게 관리되므로 유통되지 않음

  ○ 구제역이 발생되면 이동제한 및 발생농장의 모든 가축을 살처분· 매몰하는 강력한 방역조치를 취하고

  ○ 도축장에서는 수의사가 임상검사를 철저히 하여 감염가축이 도축되지 않음


4. 구제역 백신은?

 ☞ 바이러스를 죽여서 만든 사독백신

  ○ 가축에 접종하더라도 안전하여 부작용 없음

  ○ 가축의 체내에 남아있지 않고 육질에 영향을 주지 않음

5. 백신 접종 이후 관리는 어떻게 하나요?

 ☞ 시스템에 입력(소) 및 기록관리(돼지) 철저

  ○ 소 : 쇠고기 이력추적 시스템에 접종상황을 입력하여 관리함

  ○ 돼지 : 접종돼지가 모두 도축될 때가지 대장에 기록관리를 철저함


6. 백신을 접종 하면 방역하지 않아도 되나요?

 ☞ 철저한 차단방역은 계속 실시해야함

  ○ 백신접종을 하더라도 철저한 차단방역을 해야 함

    - 접종후 면역이 형성(약2주일)되기 전에는 구제역에 걸릴 수 있음

    - 백신접종 가축이 바이러스에 노출되면 전파 시킬 수 있음


7. 백신접종 가축의 이동과 출하는 어떻게 되나요?

 ○ 발생 시 · 군의 예방접종 가축

 -  임상 및 혈청검사 후 이상이 없으면 도축을 위한 이동과 출하가능

    - 다른 시·군으로 이동시에는 구제역 검사증명서 휴대

  ○ 비발생 시·군의 예방접종 가축

    - 별도 검사없이 이동과 출하 가능

    - 다른 시·도로 이동시는 지역 축협에서 출하확인서 발급 받음


8. 가축 매몰과 사후관리는 어떻게 하나요?

 ☞ 구제역 긴급 행동지침에 의해 철저하게 관리되어 안전함

  ○ 매몰 구덩이는 사체의 상부부터 지표까지 2m이상 되도록 파고

  ○ 구덩이의 바닥·측면에 점토질 혼합토로 도포 후 비닐 등을 덮고 매몰

  ○ 침출수 배출관과 저류조 등을 설치하여 수시 소독 및 수거 처리

  ○ 살처분 매몰시 주변 환견오염 방지를 위해 주기적으로 점검 및 기록·관리함

9. 확산 방지를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 축산농가, 발생지역, 발생국가 방문자제 및 방역철저

 ○ 외부사람·차량의 농장출입을 금지하고 다른 농가를 방문하지 않음

 ○ 구제역이 발생한 지역이나 국가로의 여행을 자제함

    - 부득이 여행시 축산물을 반입하지 말고 공항 · 항만 방역기관에  반드시 신고하고 소독조치 후 입국

    - 현지에서 입은 옷·신발은 밀봉하여 세탁(2주간 입지 않음)

    - 여행 후 5일 동안 축사방문 금지

 ○ 축산농가는 외부출입을 자제하고 방역을 철저히 함

<참고5>

축산농가가 준수해야 할 방역조치 사항

1. 축사 방역관리

  축사 내․외부 및 기구는 최소한 1주일에 2회 이상 정기적으로  소독을 실시하고, 작업화와 작업복은 청결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농장주와 농장 내 근무자가 외출 후 축사에 들어갈 때에는 샤워 후 농장 내 전용 옷과 신발교체하여 착용하고 출입해야 합니다.

  구제역 등 가축질병 의심가축 발견시 신속히 시험소, 수의과학검역원에 신고하세요.


  농장 내 근무자에 대하여 수시로 개인위생 등 방역교육을 실시하세요.

2. 출입 차량 및 사람 소독

  농장내 출입하는 모든 차량사람에 대해서는 반드시 소독 하고 기록을 하여야 합니다.

  차량을 소독할 경우에는 바퀴, 차체, 운전석 등을 전체적으로 소독하고, 운전자에 대해서도 반드시 소독 조치를 하여야 합니다.

  악성가축질병이 발생한 경우 많은 인원이 모이는 장소에는 가급적 가지 마시고, 축산농가 모임에 가지 않아야 합니다.

조류인플루엔자 예방

 

 

  ○ 조류인플루엔자는 감염된 철새의 배설물이나 오염된 먼지나 물, 분변 또는 옷이나 신발, 차량, 장비 등에 의해 전파되며, 닭이나 오리가 이 병에 걸리게 되면 산란율이 떨어지고 벼슬이 파란 색깔을 띠게 되며 머리와 안면이 붓고 급격한 폐사율을 보인다.

  ○ 예방을 위해서는 닭, 오리 사육농가는 가급적 철새 도래지에 가지 말고, 농장 내 청결유지와 주기적으로 축사소독을 철저히 하고 가축, 사료에 병을 옮기는 야생조류의 접근을 차단해야 한다. 또한 매일 사육하는 닭이나 오리를 관찰하여 질병이 의심되면 방역당국에 즉시 신고하고, 감염된 가축은 절대로 판매하거나 자체 처리해서는 안 되며, 외부인의 축사출입을 철저히 차단한다.

가축 사양관리

 

 

  ○ 우사는 찬바람을 막아 주되 환기는 유의하고 차가운 바닥으로 인해 소가 체온을 빼앗기지 않도록 깔 짚에 신경을 쓰도록 한다.

  ○ 능력이 좋은 젖소나 산유 초기에는 산유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에너지 급여량을 늘리고 물은 항상 충분한 양을 먹을 수 있게 주도록 한다.

  ○ 돈사는 보온에 치중하다 보면 환기가 소홀해 지므로 낮 시간 온도가 올라가게 되면 환기를 시켜 주어 쾌적한 환경을 유지해 주도록 한다.

  ○ 닭장은 환기로 인하여 급격한 온도 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한다. 특히 열이 잘 되어 있지 않는 닭장은 환기를 할 때 온도가 갑자기 떨어지게 되므로 열풍기를 작동시키고 환기를 해 주어 알맞은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초지·사료작물 관리

 

 

 ○ 폭설과 결빙된 사료작물 토양에서는 냉해와 습해를 동시에 받기 쉬우니 배수로를 정비하고 가능한 빠른 시기에 표토의 결빙으로 떠있는 토양으로부터 사료작물의 동해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여야 한다.

  ○ 논뒷그루 사료작물은 눈이나 비가 자주 올 경우 습해를 받을 우려가 있으므로 배수로를 잘 정비해 주도록 한다.

  ○ 지난해 조성한 초지는 2~3회 다져 주어 서릿발 피해를 막도록 하고 석회를 ha당 1톤 정도 골고루 뿌려 주도록 한다.


가축질병 신고

 

 

  ○ 사육하고 있는 가축을 매일 잘 관찰하여 구제역 등 가축질병 의심증상이 보이면 신속히 가축방역기관(1588-4060/9060 또는 1666-0682)에 신고해야 한다.

 

 채소

시설채소

 

 

  ○ 밤에는 저온 피해를 받지 않도록 보온에 유의하면서 시간대별로 변온 관리를 하여 난방비를 절약하도록 한다.

  ○ 보온용 커튼과 피복재는 해가 뜨는 즉시 걷어 햇빛을 많이 받을 수 있도록 하고, 해지기전에 닫아 보온력을 높인다.

  ○ 물은 가급적 점적관수를 이용하여 오전 중에 주도록 하되 작물 생육 계별로 알맞은 양을 주어 시설 안의 과습을 막고 절수 재배를 실천한다.

  ○ 눈․비가 자주 오거나 구름 낀 날이 많을 때는 햇빛이 부족하고 습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잿빛곰팡이병, 흰가루병, 균핵병 등 병해 발생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예방을 위해 약제를 살포하고 환경관리에 유의한다.

  ○ 폭설과 강풍에 대비해서 시설물을 수시로 점검하여 시설 파손으로 인한 피해를 받지 않도록 한고 눈녹은 물에 의한 습해를 받지 않도록 배수로를 정비한다.


고추

 

 

  ○ 고추 조숙재배를 하려는 농가에서는 2월중에 종자를 파종하고, 파종량은 아주 심을 때 필요한 모 수의 150%를 기준으로 한다.

  ○ 종자는 30~32℃의 따뜻한 물에 하루 정도 담근 후 28~30℃되는 곳에서 하루나 이틀 정도 싹을 틔워 고추 싹이 1~2㎜ 정도 나왔을 때 씨를 뿌리도록 한다.

  ○ 씨 뿌린 후 고운 강모래나 굵은 입자의 버미큘라이트(질석)를 종자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덮고, 물을 충분히 준 다음 발아적온에서 관리한다.(온도 25~30℃ 정도로 4~5일간)


마늘·양파

 

 

  ○ 마늘․양파는 피복한 비닐이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흙으로 덮어 주고, 재배 포장은 눈 녹은 물이나 빗물에 의한 습해를 받지 않도록 배수로를 정비해 주도록 한다.

  ○ 난지형 마늘과 조생종 양파는 얼었던 땅이 풀리면 곧바로 웃거름을 주도록 하되 생육 상태에 따라 비료량을 조절하여 너무 많은 양을 주지 않도록 한다.

  ○ 비닐을 피복하여 재배하는 포장은 비닐 위에 비료를 뿌려 주어야 하므로 여러 차례 나누어주어 비료의 유실을 최소화 하도록 한다.

  ○ 흑색썩음균핵병은 일찍부터 관찰하여 병이 발생되었을 때는 조기에 제거하여 토양 내 병원균이 확산되는 것을 막도록 한다.


월동배추

 

 

  ○ 가능한 조기에 수확작업을 완료하여 출하 또는 저온저장고에 입고한다.

  ○ 얼어 있는 배추는 수확 후 저온저장고나 그늘에서 녹인 다음 출하할 경우 상품성을 유지할 수 있다.

  ○ 언 배추는 따뜻한 날 낮 동안 풀린 다음 신속히 수확작업을 실시한다.

  ○ 월동배추 동해피해 경감을 위해 비닐 또는 부직포를 피복한다.

    - 야간의 저온에 대비하여 비닐이나 부직포 등을 피복하면 다음날 일찍 수확작업 가능

  ○ 금후 월동 전에 배추포기 묶어주기 작업 단계에서 신문지 싸주기를 병행하여 동해피해를 예방토록 한다.

  ○ 월동배추 조기출하 완료시 봄철 배추 공급량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시설봄배추를 확대재배토록 한다.

    - 빈하우스를 이용하여 봄배추 조기재배

    - 수막재배시설 등을 활용하여 봄배추 생육촉진

    - 시설내 보온터널 설치 및 부직포 피복 등 보온관리를 철저히 하여 조기정식 시 저온에 의한 추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

    - 시설배추 연작재배로 뿌리혹병 발생경력 포장은 반드시 토양소독 실시 등


봄배추

 

 

  ○ 모기르기를 할 때 상토를 구입하여 사용할 경우는 초기 생육에 필요한 비료량이 첨가되어 있어 물관리만으로 충분하다.

  ○ 모기르기 후기에 비료가 부족한 경우도 있으므로 아주심기 약 일주일 전부터 요소 0.1%액을 2~3일 간격으로 뿌려주어 생육을 촉진시켜준다.

  ○ 물주는 시기는 가장자리 모가 약간 시들어 보일 때 충분한 양의 물을 주는 것이 좋다.

  너무 자주 물을 주면 모가 웃자라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 모기름상의 온도는 야간 최저 13℃이상으로 관리하되, 낮 온도은 25℃이상 되지 않도록 환기 관리를 철저히 한다.

  ○ 봄배추를 재배할 때는 추대가 늦은 만추대성 품종을 선택하고 낮은 온도에 처하지 않도록 관리한다.

  ○ 저온기에 생긴 꽃눈이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추대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적기에 수확한다.

대설피해 대책

 

 

  ○ 겨울철 강우나 눈이 녹은 물이 시설하우스 내부로 유입되어 습해가 생기지 않도록 시설하우스 주변 배수로를 정비한다.

  ○ 하우스 지붕에 눈이 잘 미끄러져 내리도록 밴드(끈)을 팽팽하게 당겨 두며, 외부에 보온덮개나 차광망을 설치한 경우 눈이 미끄러져 내려오지 않으므로 걷어두거나 비닐을 씌워둔다.

  ○ 작물을 재배하는 가온하우스에서는 빠른 시간내에 지붕위의 눈을 수시로 쓸어내리고 커튼과 이중비닐을 열고 난방기를 최대한 가동시켜 지붕면에 쌓인 눈이 녹아내릴 수 있도록 한다.

  ○ 비닐하우스 위에 눈이 쌓여 붕괴가 우려될 경우 비닐찢기로 골재 붕괴를 예방하고, 비닐찢기 작업중에는 안전사고에 유의한다.

  ○ 폭설피해를 받은 지역에서는 신속히 복구하고, 습해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배수로에 쌓여있는 눈을 제거한다.

  ○ 동해 예방을 위한 이중터널 설치, 습해에 의한 곰팡이병 예방 등 농작물 관리에 철저를 기한다.

  ○ 복구가 불가능한 하우스는 조기에 철거한 후 내재해형 하우스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1>

채소 동해대책

1. 사전대책

  지역별 기후 조건에 맞는 적품목 선택과 안전 작기 준수

  ○ 지대별 안전 재배 작물과 적기

지  대  별

재배 작물

재배 적기

재배 위험 기간

극 저 온 지 대

난방비과다지대

중  간  지  대

경제적난방지대

엽 채 류

엽·과채류

과 채 류

억제, 반촉성

반 촉 성

촉성, 반촉성

12하~2하순

1상~1하순

1상~1하순

 -

  작물별 생육시기별 최저 한계 온도의 확보


  ○ 과채류 최저 한계 온도(℃)

작 물 별

모기를 때

꽃눈생기기전

꽃필 때

동해온도

딸  기

토마토

오  이

고  추

수  박

호  박

10

10

12

15

12

12

3~5

5

7~10

12

8~9

7~8

10

10

12

15

12

12

0

-1~-2

0~2

0~2

0~2

0~2

  ○ 엽채류 최저 한계 온도(℃)

작 물 별

모기를 때

꽃눈생기기전

냉해온도

비   고

배  추

상  추

시금치

쑥  갓

샐러리

10

10

10

 5

10

10

2

5

3

0

5

6~7

 0

 -6

 -5

-10

 -5

  0

 


  보온 시설의 보완


  ○ 소형터널 + 섬피 → 대형터널 + 커튼설치 보온

<대형터널 부직포 보온시 보온효과 및 생력효과>

보온방법

보 온 효 과

생력효과(시간/10a)

밤 기 온

밤 지 온

1 인

작업시

2 인

작업시

최 저

평 균

최 저

평 균

 

 소형터널+섬피보온

 

 대형터널+부직포보온

 

    ℃

  7.5

 

 10.2

 

11.8

 

14.8

 

13.9

 

17.3

 

16.7

 

19.6

 

137

(100)

37.8

(28)

 

102.8

(100)

8.9

(9)

   ※ 소형터널은 폭 90cm, 대형터널은 240cm임. 생력효과의 ( )내 숫자는 보온작업시 노동력을 줄일 수 있는 생력 지수임

  ○ 방풍벽 설치 : 서북 방향에 높이 3~4m로 망 설치

  ○ 하우스 연동화 : 방열 면적 축소

  ○ 하우스 주변 단열재 설치 : 깊이 40cm, 폭 10cm

  ○ 태양열 이용 증대 : 축열물주머니, 지중 축열장치의 이용

  ○ 커텐 및 턴넬에 의한 보온력 강화 : 섬피 등 보온자재 이용

<하우스 덮는 형태에 따른 기온과의 차이(보온력)>

하우스 덮는 형태

기온과의 차이

하우스 +  커텐(1겹)

  〃   +  밖에 섬피덮음(1겹)

  〃   +     〃           + 커튼(1겹)

  〃   +  소형터널  + 섬피덮음(1겹)

  〃   +     〃       + 섬피 2겹덮음

     3~ 4℃

     5~ 6

     7~ 8

     9~10

    12~13

  ※ 햇볕에 쪼였을 때의 온도차이며 구름 낀 날은 이보다 1~2℃ 낮음

  보온 효과가 좋은 덮개를 이용하여 보온한다.

<커튼 재료별 보온 효과>

구    분

폴리에틸렌 필름

(P.E)

초산 비닐

(E.V.A)

알루미늄 바른 천

(Al 증착포)

기온상승

지온상승

     1~2℃

     2~4

2~3

5

4~5

7

  자연열을 최대이용 보온 : 축열물주머니 설치

<축열 물주머니 설치 효과>

구   분

기   온

지   온

수   량

설치한곳

안 한 곳

     8~9℃

       6

    11~12℃

       8

      134%

      100

 ※ 외기온도 5℃, 재배작물 : 상추

  고온성 열매채소류 촉성재배시는 가급적 겨울철 추울 때에는 가온하여 생리 장애와 어는 피해를 방지한다

2. 사후대책

  정전 등으로 가온시설을 가동할 수 없을 때는 숯, 알콜 등을 연소시켜 가온

  보온피복 강화


 

  살균제 및 요소 엽면 살포로 생육 촉진


  피해가 심하면 다른 작물로 대체


3. 채소류의 생육 및 장애온도

(단위 : ℃)

작 물 별

최  고

한량계

적   온

최 저

량 계

동 해

온 도

장   애   온   도

토 마 토

 

가    지

고추(피마)

35

 

35

35

25~20

 

28~23

30~25

13~8

 

18~13

20~15

5

 

10

12

-1~-2

 

0~2

0~2

30℃이상 : 공동과발생

35℃이상 : 낙화, 낙과

25℃이상 : 화분기능상실

35℃이상 : 낙화, 낙과

오    이

수    박

온실메론

참    외

호    박

35

35

35

35

35

28~23

28~23

30~25

25~20

25~10

15~10

18~13

23~18

15~10

15~10

8

10

15

8

8

0~2

0~2

0~2

0~2

0~2

10℃이하 : 순멎이 현상 발생

15℃이하 및 40℃이상 : 발아율저하

15℃이하 : 발효과 발생

35℃이상 : 낙화, 낙과발생

35℃이상 : 낙화, 낙과발생

시 금 치

배    추

샐 러 리

쑥    갓

상    치

딸    기

25

25

25

25

25

25

30

20~15

20~15

18~13

18~13

20~15

20~15

23~18

15~10

15~10

15~10

13~8

15~10

15~10

10~5

8

8

5

5

8

8

3

-10

 0

-6

 0

 -5

 -5

 -5

25℃이상 : 생육정지

13℃이하 7~10일경과 : 추대발생

육묘기 5℃ 1주경과 : 추대발생

 

 

25℃이상 : 발아장애

-5℃이하 : 꽃눈동해

<참고2>

대설, 폭풍설, 한파대책

1. 사전대책

  자동화하우스 표준설계서에 의한 내재해성 하우스시설 설치

  ○ 강도가 높은 파이프 이용 비닐하우스 설치

  ○ 대설 상습 지역은 내재해성 표준 하우스 설치

  ○ 폭풍대비 골격은 트러스구조로 설치하거나 지주 또는 ×형

     브레싱(Bracing)을 세워 보강

  ○ 하우스 동과 동 사이는 1.5m이상 확보하여 하우스 적설 방지


  폭풍 상습 지역은 하우스 높이를 낮게 하고 지붕의 경사각을 낮추어 설치(30°이하)하여 바람 피해 방지

  비닐하우스의 피복비닐이 바람에 날리지 않게 비닐끈 등으로   견고히 묶음

  노후화 되거나 붕괴우려 농업시설물은 버팀목을 보강하여 무너지지 않게 함

  찢어진 비닐은 즉시 보수하거나 교체하여 시설 내 기온이 떨어지지 않도록 함

  비닐하우스, 축사 등 지붕에 눈이 쌓이지 않도록 수시로 쓸어 내림

  비닐하우스, 축사 옆 배수로를 깊게 설치하여 눈 녹은 물로 인하여 습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제설 장비의 확보 비치 등 사전 조치

  비닐하우스 위에 눈이 쌓여 붕괴가 우려될 경우 비닐찢기로 골재 붕괴를 예방하고, 비닐찢기 작업중에는 안전사고에 유의

 

  과수 방조망은 과실 수확후 망 윗부분을 걷어내여 적설로 인한 붕괴 피해 예방조치 

  기온 급강하에 대비한 보온 기자재의 사전·정비 점검 철저 

  한파대비, 기후조건에 맞는 작물선택과 안전 작기 준수


 

  축열물주머니, 가연성 물질 준비, 지온, 기온 상승 대책 강구


 

  다중 피복, 보온 및 방풍벽 설치


 

2. 사후대책

  파손된 비닐의 긴급 보수

  폭설, 폭풍 등으로 무너진 하우스 및 축사 응급 복구


 

  비닐하우스 및 축사 주위에 쌓인 눈의 신속한 제설 작업으로 시설내부의 기온이 떨어지지 않도록 대책 강구 

  비닐하우스 및 축사 내부에 보온장치 가동으로 농작물 및 가축동사 방지

  피해 농작물의 비배 관리 대농민 기술지도로 피해 최소화


 

  가축 질병 예방 등 대책 추진


 

<참고3>

월동작물 동해온도

         생육단계

작 물 별

생육정지기․휴면기

생육재생기

개화유과기

12월

1

2

3

4

5

 

 

 

 

 

 

 

겉    보    리

-17

-17

-15~17

-5~15

-4

-

쌀    보    리

-14

-14

-12~14

-4~12

-3

-

맥  주  보  리

-12

-12

-10~12

-3~10

-2

-

호          밀

-26

-26

-24

-20~24

-20

-

이탈리안라이그라스

-17

-17

-17

-15

-8

-

목          초

-15~28

-15~28

-15~28

-8~22

-5~15

-

유          채

-13~14

-13~14

-6~14

-5~6

-5~6

-

마          늘

 

 

 

 

 

 

  (난  지  형)

-5~6

-5~6

-5~6

-5~6

-5~6

-

  (한  지  형)

-7~8

-7~8

-7~8

-7~8

-7~8

-7~8

양          파

-8~9

-8~9

-8~9

-8~9

-8~9

-8~9

사          과

-25~30

-25~30

-30~35

-15~20

-1.7~2.5

-1.1

-20~25

-20~25

-25~30

-15~20

-1.7~2.8

-1.1

복    숭    아

-15~20

-15~20

-20~25

-10~15

-1.1~1.7

-1.1

포          도

-20~25

-20~25

-20~25

-15~20

-0.6

-1.1

뽕  나  무  눈

-15~20

-15~20

-14~16

-9~14

-3~9

0~-3

뽕 나 무 가 지

-20~25

-20~25

-18~20

-14~18

-7~14

0~-7

 

 

 

 

 

 

 

 ※ 사과, 배, 복숭아 : 화아피해 온도, 포도 : 눈 피해온도

 ※ 남부해안 및 제주의 극조파 보리(3월 -4~5℃)

 ※ 조파보리 주간의 유수동사(-5℃) 

 

 벼농사

종자 확보 및 땅심높이기

 

 

  ○ 해마다 같은 논에서 생산된 볍씨로 재배하면 품종이 퇴화되고 잡 이삭이 많이 발생되어 쌀 품질이 떨어지므로 보급종이나 채종포 등에서 생산된 순도가 높은 고품질 품종으로 바꾸어 재배토록 한다.

  ○ 아직까지도 종자신청을 하지 못한 농가는 자율교환을 통해 우량종자를 확보하도록 한다.

  ○ 모래논에 객토를 한 논은 퇴구비 등 유기물을 충분히 넣어 주고 규산질비료를 10a당 200㎏ 정도 살포한 후 깊게 갈아주어 객토의 효과를 높이도록 한다.

  ○ 가을에 볏짚을 주지 못한 유기물이 낮은 논은 봄갈이하기 전에 퇴구비를 10a당 1,500㎏ 정도 넣어 주어 땅심을 높이도록 한다.


벼 품종선택시 고려할 사항

 

 

  ○ 시·군농업기술센터, 도농업기술원, 연구소 등 가까운 벼 관련 기관의 전문가와 상의하면 품종의 특성과 장단점 및 최근 개발 품종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 지역생태와 품종의 숙기를 고려하여 알맞은 품종을 선택한다. 일반적으로 품종이 육성된 연구기관의 지리적 위치를 중심으로 재배적지가 형성된다.

  ○ 어떤 품종의 특수한 특성과 단점을 파악하여 둔다. 특히 신품종 재배시 적응지역, 시비량, 병해충 저항성 등 재배특성에 주의하여 특정 병해충의 발생상습지대 재배를 피해야 한다.

  ○ 각종 생리적 장해에 대한 견딜성을 파악하고 이러한 생리적 장해의 발생이 우려되는 지대나 재배형태에 대하여 알아둔다. 

  ○ 조생품종을 평야지에서 재배할 경우 대체적으로 벼 키가 커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쓰러짐 방지에 유의하고 목도열병 발생이 심한 시기에 출수하므로 목도열병 방제에 힘써야 한다. 또한 주변의 다른 품종보다 이른 출수로 새와 쥐 피해가 클 염려가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조생품종은 중만생종에 비하여 등숙기의 밤·낮 온도가 높아 미질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삼간다.

  ○ 밤에 점등으로 인한 출수지연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도시근교 도로변, 공장주변 등)에서는 중만생종 재배를 피하고 조생종으로 대체 재배한다.

  ○ 직파재배는 저온발아성, 담수토중 발아성(담수직파), 초기신장성이 높고 뿌리가 깊게 뻗고 키가 작으며 쓰러짐에 강한 직파 전용 품종을 선택해야 한다.

  ○ 수리불안전답 등 가뭄 상습지에서는 적기에 파종하고 늦심기에 강한 품종을 선택한다.

  ○ 상습적으로 잘 쓰러지는 곳에서는 쓰러짐에 강한 품종을 재배하고 규산 및 칼리질 비료를 충분히 주고, 새끼칠거름은 적기에 적량만 시용한다.

  ○ 향미, 유색미 및 대립벼1호, 양조벼, 고아미벼 등의 특수미 품종과 밥쌀용 중질 품종인 한아름벼, 남일벼 등은 가급적 단지화하고 가공업체 등 미리 소비처를 확보해 둘 필요가 있다. 

 

 밭작물

보리

 

  ○ 얼었던 땅이 녹으면서 물이 잘 빠지지 않는 논보리 포장에는 습해가 우려되므로 물이 고이지 않도록 배수구를 깊게 정비한다.

  ○ 남부 지방의 겉보리와 쌀보리는 포장을 잘 관찰하여 생육 재생 판단 직후 10일 이내(남부 2월상중순, 중북․부 2월중․하순)에 1차 웃거름을 주도록 한다.

  ○ 웃거름 주는 양은 겉보리, 쌀보리는 10a당 요소 비료를 1회에 5㎏씩 2회에 걸쳐서 주고

< 2회 웃거름 주는 시기 및 알맞은 양(㎏/10a) >

지역별

1 회

2 회

시  기

시 용 량

시  기

시 용 량

성분량

요  소

성분량

요  소

북  부

2월 하순

2.3

45

3월 중순

2.3

45

중  부

2월중․하순

2.3

45

3월 상순

2.3

45

남  부

2월상․중순

2.3

45

2월 하순

2.3

45

  ○ 맥주보리는 2월 중하순에 단간종은 7.2㎏, 장간종은 4㎏을 1회에 전량을 주어 단백질 함량이 적은 양질의 맥주보리를 생산토록 한다.

  【생육재생기 판단요령】

  ○ 2월상순 지상 1㎝ 부위에서 잎을 잘라놓고 속잎의 신장이 관찰되면 재생기로 판단하여 웃거름 시용적기로 결정하되,

  ○ 남부 2월중순, 중․북부 2월하순 이후 재생시를 재생기로 보며 이상난동에 의한 일시적 재생은 재생기로 보지 않고 계속 생육시만 재생기로 본다. 

감자

 

 

  ○ 남부 지방에서 시설 감자를 재배하는 농가는 싹틔움상 관리를 잘하여 적기에 아주심기를 한다.

  ○ 시설에 아주심기 한 감자는 14~23℃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고, 한낮에는  30℃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환기 작업에 유의하며, 물관리를 잘하여 토양 수분이 충분히 유지 되도록 한다.

<참고1>

보리 동해대책

1. 대맥의 생육단계별 저온장애와 관리 작업

생육과정

유수분화정도

유수장

(㎜)

간 장

(㎝)

동 사

온 도

(℃)

기 간(월·일)

주간

엽수

(매)

관 리 작 업

중부

남부

 

 

 

 

 

 

 

 

 

 발  아  기

-

-

 

 

10.10

10.25

-

 

 아  생  기

-

-

 

 

10.23

11. 8

2

토입,답압,피복,배수구 설치(월동전)

 유  묘  기

-

-

 

 

10.30

11.15

3~1

 

 분얼성수기

 

 

 

 

 

 

 

 

 포분화전기

Ⅲ-Ⅳ

-

-

-17

(동사)

월동중

월동중

5~6

 

 포분화후기

0.5

-

-17

(동사)

3. 1

2.10

5~6

 

 유수형성기

 

 

 

 

 

 

 

 

 소수분화전기

0.7

-

-15

(동사)

3. 6

2.26

6

추비,토입,중경

 소수분화중기

0.9

-

-13

(동사)

3.16

3. 4

7

 

 소수분화후기

1.0

0.6

-4~-6

(규간유수동사)

3.26

3.10

8

추비,토입,중경

배수구정비

 영화분화전기

2.0

2.2

-3~-5

(부분불임)

3.30

3.20

9

 

 영화분화후기

3.0

6.2

-2~-4

(부분불임)

4.10

4. 1

10

 

 최고분얼기

 

 5.0

12.5

 

4.10

4 .5

11

습해도복, 한발방지

 신  장  기

 

20.0

21.1

 

 

 

12

습해방지

 출  수  기

 

40.0

81.0

 

5. 5

4.25

13

병충해방재

 성  숙  기

 

-

94.0

 

6.10

6. 5

13

적기수확

 

 

 

 

 

 

 

 

 

2. 맥종별 동사온도(℃)

월  별

12월

1

2

3

4

생육단계

 

생육정지기

 

������������������������������ 생육재생기 ������������������������������

 

 

겉 보 리

-17

-17

-15~-17

-5~-15

-4

쌀 보 리

-14

-14

-12~-14

-4~-12

-3

맥주보리

-12

-12

-10~-12

-3~-10

-2

 

 과수

 과원관리

 

 

  ○ 지난해 과수원에 발생하였던 병해충은 나뭇가지, 과실과 거친 껍질 틈에서 겨울을 나게 되므로 미리 병해충의 잠복처나 전염원을 모두 없애 주도록 한다.

  ○ 과수원에서 잘라 낸 가지는 모두 모아 분쇄기로 잘게 잘라 퇴비로 이용하고 낙엽이나 나무줄기의 거친 껍질은 벗겨서 태우도록 한다.

  ○ 벗긴 껍질을 태울 때에는 인근 나무에 화상피해를 받지 않도록 주의한다.

  ○ 추위가 심한 지역은 언피해에 대비하여 가지치는 시기를 다소 늦추도록 한다.

  ○ 기온이 많이 떨어져 복숭아 동해피해가 예상될 때에는 즉시 피해부위를 고무밴딩하여 나무껍질과 목질부를 밀착시켜 주면 상처 유합이 촉진되어 고사가 방지되고 수세회복에 효과적이다

  ○ 고무밴딩을 할 때에는 피해부위 전체를 감싸주어야 하며 새가지가 신장을 시작하는 5월 중순경에 고무밴딩을 벗겨준다.

  ○ 꼬마배나무이의 방제적기가 2월 1일부터 최고 온도가 6℃ 이상 되는 날이 16~21번째 되는 날이 되므로 지역의 기상자료를 확인한 후 적기를 판단, 기계유유제(0.8~1ℓ/물 20ℓ)를 살포하여 방제하도록 한다. 

<참고1>

과수 동해대책

1. 사전대책

  월동기 보호

  ○ 묻어 주기 : 흙으로 30cm 정도 덮어 줌 (포도)

  ○ 싸매 주기 : 지상에서 80~100cm 부위까지 짚으로 싸매 줌

  ○ 흙 덮기 : 지제부에서 30~40cm 높이로 흙을 북돋아 줌

  ○ 백도제, 수성페인트 발라 주기 : 지상에서 1m 부위까지 발라 줌

< 파종별 피해 온도(℃) >

구   분

12~1월

2월

3월

4월

5월

생육단계

 

잠 잘 때

 

싹 트 고

꽃 필 때

열    매

맺 힐 때

 

 

사    과

복 숭 아

포    도

-25~-30

-20~-25

-15~-20

-20~-25

-30~-35

-25~-30

-20~-25

-20~-25

-15~-20

-15~-20

-10~-15

-15~-20

-1.7~-2.5

-1.7~-2.8

-1.1~-1.7

-0.6

-1.1

-1.1

-1.1

-1.1

  수확기 : 익은 과실 서둘러 수확, 언 과실은 언 것이 풀린 후 수확


2. 사후대책

  언 피해 발생 과수원은 꽃눈을 육안으로 감별 진단하여 피해 정도에 따라 가지 가다듬기

  ○ 전정 시기 : 2월 상순 (보통 때) → 3월 상순 (언 피해 피)

  ○ 꽃눈 50% 이상 언 피해 : 평년 대비 열매가지를 2배 이상 남김

  ○ 꽃눈 50% 이하 언 피해 : 평년 대비 열매가지를 20% 더 남김

  피해를 입은 나무는 웃자란 가지를 활용하여 수관 형성


 

  꽃눈이 얼어죽어 열매가 달리지 않는 나무는 질소비료 30~50% 감량


 

  꽃눈 피해가 많을 경우 인공수분 실시와 열매를 드물게 솎음


 

 

 화훼

  

  ○ 2월 졸업시기에 꽃을 출하하기 위하여 준비하고 있는 농가에서는 고품질 절화 생산을 위한 하우스 환경 관리 및 적기 수확을 잘하도록 한다.

  ○ 장미는 겨울철 환기불량으로 인한 잿빛곰팡이병이 발병되지 않도록 과습에 유의하며 낮온도는 24~27℃, 밤온도는 15~18℃를 유지해야 품질이 좋은 장미를 생산할 수 있다. 장미의 적정 수확시기는 꽃잎이 벌어지기 시작할 때이다.

  ○ 거베라는 저온장해를 받지 않도록 최소한 12℃이상은 유지해야 하며, 새로운 품종을 심으려고 계획하고 있는 농가라면 2월 상순부터 정식준비(심경, 토양개량, 토양소독, 시비 등)를 한다. 거베라의 수확시기는 홑꽃은 통상화(꽃가운데 둥근부분)의 수술이 2~3줄 보일때, 겹꽃은 꽃잎이 충분히 전개되었을 때가 적기이다.

  ○ 프리지아는 꽃봉오리가 전체적으로 물들고 첫 번째 꽃이 피기 직전에 수확하며, 억제재배 작형(4~5월 수확) 농가는 1월 중․하순경에 정식한 구근위에 비닐피복 및 가온을 하여 저온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한다.

  ○ 카네이션은 밤과 낮의 온도차가 심할 경우에는 꽃받침이 터져 꽃잎이 흩어져 나오는 불량한 꽃이 많이 발생하게 되므로 생육에 알맞은 환경(12~16℃)을 유지시켜 품질이 좋은 꽃을 생산토록 한다. 적정 수확 시기는 스탠다드 계통은 30%정도 개화되었을 때 하며, 스프레이계통은 1, 2번화 개화시 수확한다. 채화위치는 보통 꽃봉오리에서부터 8번째 마디에서 실시한다.

 

 

  특용작물

느타리버섯 재배관리

 

 

  ○ 요즈음 느타리버섯의 버섯 발생 상태가 5~6주기에 해당되는 재배사는 경영비를 감안하여 폐상 시기를 결정하고 다음 재배를 준비한다.

  ○ 겨울철 버섯 재배가 끝난 후에는 재배사를 밀폐시킨 후 증기열 또는 포르말린 등으로 소독을 실시한다.

  ○ 봄철 느타리버섯 재배를 위하여 계절에 맞는 우량 종균을 미리 신청하여 확보토록 하고 볏짚, 폐면 등 우량 배지 등 자재를 미리 확보하여 안전한 버섯 재배가 되도록 한다.


  ☞ 문의 : 농촌진흥청 (031) 299-2702 jungdo@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