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목 차 |
|
|
|
|
Ⅰ. 기상전망 1
Ⅱ. 벼농사 2
Ⅲ. 밭작물 4
Ⅳ. 채소 6
Ⅴ. 과수 11
Ⅵ. 화훼 11
Ⅶ. 특용작물 12
Ⅷ. 축산 13
Ⅸ. 저온(한파)대비 월동작물 관리대책 18
Ⅰ. 기상전망(1월상순~1월중․하순)
1 |
날씨전망 |
|
□ (1월 상순) 대륙고기압과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기온은 평년보다 높겠음. 기압골의 영향으로 비 또는 눈이 오겠고, 내륙 산간에 많은 눈이 오는 곳이 있겠음.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겠음
□ (1월 중순∼하순)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을 주기적으로 받아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며 추운 날이 있겠으나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대륙고기압이 확장할 때 서해안과 내륙 산간지방에 많은 눈이 오겠음.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2 |
순별 예보 |
|
순별 |
평 균 기 온 |
강 수 량 |
1월 상순 |
평년(-5~4℃)보다 높겠음 |
평년(5~14㎜)보다 많겠음 |
1월 중순 |
평년(-5~3℃)과 비슷하겠음 |
평년(7~23㎜)과 비슷하겠음 |
1월 하순 |
평년(-6~3℃)과 비슷하겠음 |
평년(3~18㎜)과 비슷하겠음 |
Ⅱ 벼농사
1 |
볍씨 확보 |
|
○ 벼 보급종은 자기 지역에 공급되는 품종과 그 품종의 특성을 미리 알아보고 기간 내에 시군농업기술센터에 신청하도록 한다.
○ 내년에 심을 볍씨는 지역에서 추천하는 고품질 품종 중에서 보급종을 신청하거나 순도 높은 우량종자 생산 농가와 자율교환을 하여 확보하도록 한다.
○ 보급종 종자 신청 기간(’11.11.11∼‘12.1.31)
구 분 |
기 간 |
수행기관 |
비 고 |
기본신청 |
‘11.11.11.~12.25. |
시․군 농업기술센터,
농업인상담소
읍면동주민센터 |
공급예시 물량 범위내에서 신청 |
신청물량 조정 |
‘11.12.26.~12.29. |
읍면동 간 신청물량 조정, 시군별 남는 물량에 대해 해당지역에서 선착순 신청 | |
‘11.12.30.~12.1.5. |
시군 간 신청물량 조정, 도별 남는 물량에 대해 해당지역에서 선착순 신청 | ||
추가신청 |
‘12. 1. 6.~ 1.31. |
전국 남는 물량에 대해 선착순 신청 |
* 공급기간 : ‘12. 1. 10 ∼ ’12. 3. 31
* 벼 공급종 관련 문의 : 국립종자원 종자유통과(031-467-0133)
2 |
땅심 높이기 |
|
○ 모래논 등 찰흙이 적어 생산력이 떨어지는 논은 찰흙함량이 25% 이상 되는 우량 객토원(붉은 산흙)을 사전에 확보하여 양질의 흙으로 객토를 하여 토양조건을 개선하도록 한다.
○ 객토를 한 논은 볏짚, 퇴구비 등 유기물과 규산질비료를 시용하고 깊이갈이를 하는 등 종합개량이 되도록 하여 객토의 효과를 높이도록 한다.
3 |
농기계 관리 |
|
○ 겨울철 농기계는 눈․비를 맞지 않는 안전한 곳에 보관하도록 하고, 보관시 트랙터는 클러치를 떼어놓고 유압 리프트암을 올린 상태로 보관하도록 한다.
○ 콤바인은 컴프레서 등을 이용하여 깨끗이 청소해 주도록 하고, 예취날은 그리스를 발라 녹이 슬지 않도록 한다.
○ 겨울 동안 사용하지 않는 쟁기, 로터리 등 작업기는 오일을 발라 주어 녹이 슬지 않도록 해 준다.
4 |
벼 수확 후 관리 |
|
○ 미곡저장 중 온도 및 습도가 높으면 저곡해충 발생 및 미곡의 양적․질적 손실이 심할 뿐만 아니라 화학적 변화도 많이 일어나 품질이 떨어진다.
○ 저장성을 높이기 위하여 곡물의 수분함량을 15%이하로 유지하고 저장고내의 온도는 15°c이하, 습도는 70%이하가 되게 하고, 공기조성은 산소 5~7%, 탄산가스 3~5%로 유지시켜 준다.
Ⅲ . 밭작물
1 |
보리밭 관리 |
|
○ 보리, 밀은 배수가 불량한 지역은 배수구 재정비와 보머리 트기 작업을 하여 습해를 예방하는 한편 12월중․하순경 생육이 완전 정지된 후 퇴비, 거친 두엄, 왕겨 등을 10a당 1,000㎏ 기준으로 덮어주어 안전한 월동관리가 되도록 한다.
○ 보리 수량을 올릴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방법은 관리에 철저를 기해야 하며 그중에서도 겨울동안에 보리를 추위로부터 막아주고 토양수분을 알맞게 해주는 등 보리의 건전생육을 유도해야 한다.
2 |
감자․고구마 |
|
○ 봄감자(춘기) 보급종 신청(‘11.11.1∼’12.1.22)
구 분 |
기 간 |
수행기관 |
비 고 |
기본신청 |
‘11.11.1~12.1.5 |
시․군 농업기술센터 (농업인상담소)
읍면동주민센터 |
예시량 범위내에서 신청 |
신청물량 조정 |
‘12.1.6~1.10 |
도별 잔량에 대해 해당 도에서 선착순 신청 | |
추가신청 |
‘12.1.11~1.22 |
전국 남는 물량에 대해 선착순 신청 |
* 공급기간 : ‘12.2.15 ∼ ’12.4.15(공급가격 : 23,970원/20kg)
* 봄감자 관련 문의 : 강원도감자종자진흥원(033-339-8827)
○ 감자 시설재배를 위한 싹 틔움상의 파종 시기는 12월 중순~1월 중순까지(아주심기 1월 상순~2월 중순)가 알맞으며, 씨감자는 수미, 조풍, 하령, 고운, 대서 등의 품종을 재배하도록 하고
○ 움 저장을 하고 있는 고구마는 알맞은 온도(12~15℃)와 습도(90~95%)를 유지하여 안전한 저장이 되도록 한다.
3 |
보리, 밀 월동관리 대책 |
|
○ 생육정지 상태가 된 보리는 눈이나 비가 온 후 갑자기 추워 졌을 때 동해 피해가 우려 되므로 동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배수골을 정비하여 배수가 잘 되도록 해 준다.
○ 배수 작업을 겸한 흙넣기와 트랙터 부착 로울러 이용 보리 밟기를 한다.
○ 씨뿌린 직후에 유기물을 덮어주지 못한 포장은 12월 중․하순경 생육이 완전 정지된 후 퇴비, 거친 두엄, 왕겨 등을 10a당 1,000kg 기준으로 덮어주는 것이 좋다.
○ 월동 전․후 분얼이 왕성할 때 까지는 1㎝정도, 무효분얼기 이후는 2~3㎝ 이상의 깊은 토입으로 분얼억제와 도복방지 및 잡초발생을 억제한다.
Ⅳ. 채소
1 |
시설채소 |
|
○ 시설원예 난방비 절감을 위해서 하우스 피복자재를 잘 덮어 보온력을 높이고 일사량 감응 자동 변온관리장치, 배기열 회수장치, 순환식 수막하우스, 시설원예용 제습기, 목재난방기 등 난방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시설을 점검 및 보완한다.
○ 사용년수가 오래된 온풍난방기의 버너와 열교환기 내부에 쌓여있는 분진을 제거하여 열효율을 높힌다.
○ 커튼이나 피복재는 해가 뜨는 즉시 일찍 걷어주어 햇빛을 많이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저녁에는 일찍 덮어주어 보온력을 높이도록 한다.
○ 오이 12℃, 가지․토마토 16℃, 파프리카․풋고추 18℃ 이상 유지시켜 주시고, 상추․쑥갓 등 잎채소는 8℃ 이상 유지되도록 보온 또는 가온을 해 주도록 한다.
○ 겨울철 물주기는 점적관수를 이용하여 오전 중에 주도록 하고, 하우스 안의 습도가 높지 않도록 환기관리를 잘한다.
2 |
대설 대책 |
|
○ 겨울철 강우나 눈이 녹은 물이 시설하우스 내부로 유입되어 습해가 생기지 않도록 시설하우스 주변 배수로를 정비한다.
○ 하우스 지붕에 눈이 잘 미끄러져 내리도록 밴드(끈)을 팽팽하게 당겨 두며, 외부에 보온덮개나 차광망을 설치한 경우 눈이 미끄러져 내려오지 않으므로 걷어두거나 비닐을 씌워둔다.
○ 작물을 재배하는 가온하우스에서는 빠른 시간내에 지붕위의 눈을 수시로 쓸어내리고 커튼과 이중비닐을 열고 난방기를 최대한 가동시켜 지붕면에 쌓인 눈이 녹아내릴 수 있도록 한다.
○ 비닐하우스 위에 눈이 쌓여 붕괴가 우려될 경우 비닐찢기로 골재 붕괴를 예방하고, 비닐찢기 작업중에는 안전사고에 유의한다.
○ 보강지주는 적설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2.5~4m 간격으로 설치하되 바닥에 지지판을 부착해야 지반 침하를 방지하여 재 기능을 할 수 있다.
○ 하우스 동간에도 눈이 쉅게 쌓여 지붕위 제설작업이 어려워지고, 하우스 측벽이 무너질 수 있으므로 수시로 제설작업을 해주어야 한다.
○ 폭설예보가 있을 경우 작물을 재배하지 않는 하우스는 피복재를 사전에 제거해 두어야 눈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3 |
마늘․양파 |
|
○ 마늘․양파와 같은 월동채소는 눈이나 비가 올 때 습해를 받지 않도록 배수로를 잘 정비해 준다.
○ 웃자란 마늘은 월동기 잎이 노랗게 되는 증상과 월동 후 하얗게 되는 현상이 예상되므로 볏짚 또는 막(비닐)덮기 등으로 피해를 방지한다
○ 토양이 건조한 경우에는 동해를 받기 쉬우므로 따뜻한 날에 물주기 실시한다
4 |
병해충 발생정보 |
|
□ 토마토황화잎말림병(TYLCV)
○ 토마토, 고추 등 가지과 작물에서 발생하는 토마토황화잎말림병은 담배가루이(Q계통)에 의해 전염되므로 포장을 잘 살펴보고 잎 뒷면과 포장주위를 잘 살펴보아 담배가루이를 철저히 방제
☞ 병을 전염시키는 해충의 세대 기간이 짧아 연간 발생횟수가 많고 증식률이 높으므로, 방충망을 이용하여 유입 방지 및 발생초기 방제하고, 육묘시 철저한 관리로 병이 확산되는 것을 예방
※ 측창망사 : 가루이가 들어가지 못하는 크기(60~80mesh), 환기시설 필요
○ 발생지역 육묘장에서 감염된 묘를 통해 타지역으로 확산될 수 있으므로, 농가에서는 묘 구입시 바이러스에 걸리지 않은 건전한 묘를 구입하고, 시설작물 재배 주변지역은 기주식물이 되는 잡초제거 및 병든 식물체는 조기에 제거해주어야 함
☞ 기주식물 : 큰개불알풀, 광대나물, 별꽃, 큰망초, 쑥, 머위
○ 담배가루이는 추위에 약하므로 겨울철 작물을 재배하지 않는 시설하우스는 기온이 매우 낮은 날 한밤중에 하우스 문을 열어 방제하는 방법 활용
□ 꽃노랑총채벌레, 오이총채벌레, 아메리카잎굴파리, 담배가루이, 온실가루이, 진딧물, 점박이응애
○ 꽃노랑총채벌레, 오이총채벌레 등 총채벌레는 오이, 고추, 토마토, 국화, 거베라, 장미, 감귤 등 시설 내에서는 연중 발생하는 해충으로, 초기에 발생 상황을 알지 못하여 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고 바이러스병을 전염시켜 큰 피해를 줌
○ 아메리카잎굴파리는 거베라, 국화 등 화훼류와 토마토, 가지 등에서 발생이 많으며, 잎 속에 굴을 파고 다니면서 잎살을 갉아먹는 피해를 줌
○ 담배가루이, 온실가루이는 가지과 작물에, 진딧물은 엽채류에서 주로 발생하며 식물체의 즙액을 빨아먹는 직접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그을음병을 유발하여 상품성을 떨어뜨리고, 딸기가 점박이응애의 피해를 받으면 잎이 누렇게 변하여 말라죽게 됨
☞ 이들 해충은 초기에 방제해야 효과적이므로 끈끈이트랩을 매달아 놓고 주의 깊게 예찰하고, 발견 초기 천적을 통한 생물학적 방제를 활용하거나 적용약제로 방제
□
딸기․토마토․고추․오이․상추․잎들깨 등의 잿빛곰팡이병, 균핵병○ 딸기․토마토․고추 등의 잿빛곰팡이병은 시설내의 온도가 20℃ 전후로 낮고 습도가 100%에 가까울 정도로 높은 조건에서 발생되며 병든 식물을 그대로 둔 채 환기를 시키면 병이 더 많이 발생할 수 있음
☞ 적절한 환기로 시설 내의 습도를 낮추어 주되 보온에 유의하고, 시설 내에서 병이 발생되면 급속하게 번지는 특성이 있으므로 발생 초기에 적용약제로 방제하되 약제를 바꾸어 가며 사용해야 함
○ 상추 등 잎채소의 잿빛곰팡이병과 균핵병은 시설재배에서 온도가 낮고 습도가 높을 때 발생이 많으므로 시설 내 보온과 환기에 유의하여 발생을 억제하고, 발생 초기에 적용약제로 방제
○ 오이․토마토․고추․딸기의 균핵병은 잿빛곰팡이병과 비슷한 환경에서 발생되는 병으로 질소질 비료를 많이 주어 작물체가 연약하게 자랄 때, 연작에 의하여 병원균 밀도가 높을 때 많이 발생함
☞ 적절한 환기와 보온으로 시설 내의 온도를 20℃ 이상으로 유지하고, 병든 식물은 바로 없애주며, 잿빛곰팡이병과 동시 방제
□ 참외․오이․메론․상추 등의 노균병 및 흰가루병
○ 참외, 오이, 상추 등의 노균병은 시설 내의 습도가 높고 온도가 낮은(20℃ 전후) 조건에서 발생이 많으며, 일조량이 부족하거나 거름기가 모자라 작물 생육이 왕성하지 못할 때 발생이 많음
☞ 야간에 보온관리를 잘하여 저온이 되지 않도록 하고 웃거름 주기, 열매솎기와 햇볕 쪼임을 좋게 하여 강건하게 생육하도록 함과 동시에 시설 내의 습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환기에 유의
☞ 특히 오이 시설재배 중 환기를 시키는 과정에서 찬바람이 식물체에 직접 닿을 경우 노균병 발생이 심하게 되므로 환기를 할 때 유의
☞ 또한 병이 발생된 포장은 병든 잎을 일찍 따낸 다음 발생 초기에 적용농약으로 방제해야 함
○ 흰가루병은 하우스 등 시설재배에서는 분생포자가 공기로 전염되며, 일반적으로 15~28℃에서 많이 발생하고 32℃이상의 고온에서는 발생이 줄어듦
☞ 햇볕 쪼임이 부족하고 밤낮의 온도차이가 심하며 비료기가 많은 조건에서 발생이 많으므로 병든 식물은 즉시 제거하고 질소가 과용되지 않도록 균형시비를 하면서 병 발생 초기에 적용약제로 방제
Ⅴ . 과수
○ 아직까지 월동대책을 세우지 못한 농가는 동해를 받기 쉬운 원줄기와 주지를 백색 페인트 또는 짚으로 싸서 보호한다.
○ 내한성이 약한 포도나무(거봉 등)는 땅에서부터 1m 정도 부위까지 짚 등으로 싸매어 동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
○ 조류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씌워 두었던 방조망은 적설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양측면으로 걷어둔다.
○ 과실 저장 중에 발생하는 에틸렌가스, 이산화탄소 등 유해가스가 저장고 안에 차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환기를 실시해 주도록 한다.
○ 현재 저장 중인 과실을 수시로 살펴보아 썩는 과실은 골라내고 연약한 과실이 많을 경우에는 빨리 출하토록 한다.
Ⅵ . 화훼
○ 시설 화훼를 재배하고 있는 농가는 하우스 보온관리에 힘쓰도록 한다.
○ 눈이 많이 내리거나 온도가 떨어질 것으로 예보되면 하우스 보온연료를 넉넉하게 준비하고, 제설작업 준비를 해둔다.
○ 시설화훼 재배에 있어 낮과 밤의 온도차가 심하면 꽃의 종류에 따라 생육이 정지되거나 불량 꽃이 발생되는 등 생리장해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알맞은 환경관리를 해 주도록 한다.
○ 꽃노랑총채벌레, 온실가루이 등 외래해충은 농약에 대한 내성이 크기 때문에 계통이 다른 약제를 번갈아 가며 뿌려 방제하도록 한다.
Ⅶ. 특용작물
1 |
느타리버섯 재배관리 |
|
○ 겨울철 느타리버섯 재배는 밤과 낮의 온도차가 많이 나므로 재배사와 배지의 온도가 저온기 품종에 알맞은 10~16℃ 정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보온관리와 아울러 단열시설을 보완하여 주도록 한다.
○ 또한 균상이 마르지 않고 85% 정도의 습도가 유지되도록 하면서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항상 유입되도록 관리한다.
○ 버섯 자실체에 수분이 오랫동안 머물지 않도록 환기관리를 잘하여 세균성갈변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2 |
인삼 |
|
○ 폭설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해가림 시설 설치 전 또는 눈이 오기 전에 표준 규격자재를 사용해 해가림을 설치해야 한다. 피해가 잦은 지역에서는 전후주연결식(두둑별 앞뒤 지주대 연결방식)으로 설치하는 것이 좋고, 차광망을 미리 걷어 놓아야 한다.
○ 차광망을 미리 걷어주지 않은 경우, 눈이 내릴 때는 눈이 쌓이지 않게 지속적으로 제설작업을 해주고 눈이 쌓여 집단붕괴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중간 중간 차광망을 강제 해체해 피해를 최소화 해야 한다.
○ 종자를 파종한 밭에서는 모래를 1.5~2cm 덮어줘 겨울동안 종자가 얼거나 봄에 출아할 때 수분이 부족하지 않게 하여 출아율을 높여줘야 한다.
○ 모판흙이 건조할 경우 볏짚 이엉을 덮은 후 물을 충분히 공급하고 검은 비닐로 덮어 주면 출아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잡초 방제에도 효과가 있다.
Ⅷ . 축산
1 |
구제역 예방 |
|
○ 축사 안팎과 기구는 매일 소독을 실시하고, 작업화와 작업복은 항상 청결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 농장의 차단방역시설을 확인하고 야생동물들이 농장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울타리와 출입문을 점검한다.
○ 농장주와 농장 내 근무자가 외출 후 축사에 들어갈 때에는 샤워 후 농장 내 전용 옷과 신발로 교체하여 착용하고 출입해야 한다.
○ 그리고 농장내 출입하는 모든 차량과 사람에 대해서는 반드시 소독을 하고 기록을 하여야 한다.
○ 소독제의 특성(염소, 요오드, 알데하이드 류 등)에 따라 효과가 틀리므로 반드시 사용설명서에 따라서 농장 내․외부를 소독한다.
○ ‘11년 9월부터 구제역 방어범위가 넓어져 예방효과가 좋은 구제역 3종 혼합백신(O+A+Asia1 형)을 공급하고 있으며 예방백신 접종을 철저히 한다.
○ 구제역 재발 방지를 위해 새로 태어나는 새끼 가축에 대해서는 수시로 접종을 실시하고 거래하는 가축의 예방접종확인서를 휴대하여야 한다.
○ 차량을 소독할 경우에는 바퀴, 차체, 운전석 등을 전체적으로 소독하고, 운전자에 대해서도 반드시 소독 조치를 하여야 한다.
○ 축산관계자는 가축전염병 발생국가로 출국하거나 가축전염병 발생 국가를 체류․경유하여 입국할 때에는 공항 또는 항구에 주재하는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에 신고하여 소독조치를 받아야 한다.
* 가축전염병(FMD․HPAI) 발생국가 : <붙임> 참고
○ 구제역․조류인플루엔자 발생국가를 여행할 경우에는 축산농가, 가축시장 등을 방문하지 말고 귀국한 후에는 5일간 가축 사육 시설 출입을 삼가야 한다.
2 |
조류인플루엔자 예방 |
|
○ 조류인플루엔자는 감염된 철새의 배설물이나 오염된 먼지나 물, 분변 또는 옷이나 신발, 차량, 장비 등에 의해 전파되며, 닭이나 오리가 이 병에 걸리게 되면 산란율이 떨어지고 벼슬이 파란 색깔을 띠게 되며 머리와 안면이 붓고 급격한 폐사율을 보인다.
○ 10월부터 다음해 4월까지는 철새 등 야생조류의 이동 및 유입시기이며 국내 철새도래지의 야생조류에서 저병원성 H5형 AI바이러스 등이 검출되었으며 고병원성으로 변이가 가능하므로 철새 도래지 방문, AI 발생국가의 여행을 자제하고 부득이 여행하는 경우 축산농장 방문을 금지하도록 한다.
○ 매일 가축을 세심히 관찰하고 의심증상이 보이면 즉시 방역당국(☎ 1588-4060, 1588-9060)에 신고하고, 감염된 가축은 절대로 판매하거나 자체 처리해서는 안 되며, 외부인의 축사출입을 철저히 차단한다.
○ 축사, 분뇨처리장내 야생조류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그물망설치, 비닐포장 등 차단 조치를 취하고 사료저장통 주변 등 축사주위의 사료를 깨끗이 제거하여 야생조류가 접근할 환경을 사전에 제거해야 한다.
○ 외출후에는 반드시 축사 전용장화로 갈아 신고 발판 소독조에 소독 후 축사에 출입을 해야 한다.
○ 사육시설 주변 및 농장 부지의 경계에 2~3m의 폭으로 정기적인 생석회 도포 실시(소독효과 및 쥐 등의 야생동물에 대한 기피효과)한다
< 붙 임 > 구제역(FMD), 고병원조류인플루엔자(HPAI) 발생국가
질병 |
대륙 |
국가명 |
구제역 (70개국) |
아시아 (31개국 ) |
네팔, 대만, 라오스, 레바논, 말레이시아, 몽골, 미얀마, 방글라데시, 부탄, 북한, 베트남, 사우디아라비아, 스리랑카, 아랍에미리트, 아프가니스탄, 오만, 이란, 이스라엘, 인도, 에멘, 중국, 카자흐스탄, 카타르, 캄보디아, 타지키스탄, 터키, 쿠웨이트, 태국,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홍콩 |
Afghanistan, Bangladesh, Bhutan, Cambodia, China, Chinese Taipei, Hong Kong, India, Iran, Israel, Kazakhstan, Korea(Dem. People's Republic), Kuwait, Laos, Lebanon, Malaysia, Mongolia, Myanmar, Nepal, Oman, Pakistan, Palestinian Auton. Territories, Qatar, Saudi Arabia, Sri Lanka, Tajikistan, Thailand, Turkey, United Arab Emirates, Vietnam, Yemen | ||
아프리카 (33개국) |
가나, 나미비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나이제리아, 니제르, 르완다, 리비아, 말라위, 말리, 모잠비크, 바레인, 보츠와나, 부룬디, 부르키나파소, 베냉, 소말리아, 수단, 세네갈, 앙골라, 우간다, 이집트, 에티오피아, 짐바브웨, 잠비아,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차드, 콩고민주공화국, 코모로, 코트디부아르, 케냐, 카메룬, 탄자니아, 토고 | |
Angola, Bahrain, Benin, Botswana, Burkina Faso, Burundi, Cameroon, Central African Republic, Chad, Comoros, Congo(Dem. Rep. of the), Cote D'lvoire, Egypt, Ethiopia, Ghana, Kenya, Libya, Malawi, Mali, Mozambique, Namibia, Niger, Nigeria, Rwanda, Senegal, Somalia, South Africa, Sudan, Tanzania, Togo, Uganda, Zambia, Zimbabwe | ||
유럽 (2개국) |
러시아, 불가리아 | |
Bulgaria, Russia | ||
아메리카 (4개국) |
베네수엘라, 에콰도르, 콜롬비아, 파라과이 | |
Colombia, Ecuador, Paraguay, Venezuela | ||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 (17개국) |
아시아 (14개국) |
네팔, 라오스, 미얀마, 방글라데시, 부탄, 베트남, 이란, 이스라엘,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캄보디아, 팔레스타인, 홍콩 |
Bangladesh, Bhutan, Cambodia, Hong Kong, India, Indonesia, Iran, Israel, Japan, Laos, Myanmar, Nepal, Palestinian Auton. Territories, Vietnam· | ||
아프리카 (2개국) |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집트 | |
Egypt, South Africa | ||
유럽 (1개국) |
루마니아 | |
Romania |
※ 출처 : OIE(세계동물보건기구)
※ OIE의 “타지키스탄 구제역 발생(‘11.11.25.)”정보에 따라 타지키스탄을 구제역 발생국가에 추가
3 |
가축 사양관리 |
|
○ 축사 안으로 샛바람이 들어오지 않도록 틈새를 막아주어 소에 찬바람이 직접 닿지 않도록 하고, 특히 송아지는 추위에 약하므로 보온관리를 잘 해 주도록 한다.
○ 젖소는 온도가 떨어지면 체온을 유지하기 위하여 혈관을 수축시켜 산유량에 영향을 미치는 혈액의 흐름을 조절하게 되어 유지방 등 우유 성분은 높아지는 반면 산유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사료의 에너지 수준을 조정해 주고 찬바람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 돈사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소독시설, 급수라인 등은 단열재를 이용하여 동파를 방지하도록 하고 수시로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 닭장은 샛바람 방지를 위하여 바람막이 시설을 설치하고 햇볕을 가리는 장애물은 제거한다.
4 |
사료작물 관리 |
|
○ 겨울 월동 사료작물의 한발 및 동해 방지를 위하여 로라를 이용한 진압을 실시하여 추위로 인해 들떠있는 토양을 잘 다져주도록 한다.
○ 초지와 논뒷그루 사료작물 포장에 퇴구비 등을 뿌려 주어 동해를 방지하고 땅심도 높여 주도록 한다.
○ 배수가 불량한 포장의 경우 배수로 정비로 습해를 예방하도록 한다
○ 생육이 다소 부진한 포장의 경우 볏짚이나 퇴비, 왕겨 등의 유기물 시용으로 겨울철 한파로 인한 동해피해 예방하도록 한다
○ 초장이 크고, 분얼수가 많은 포장의 경우 배토로 분얼억제 및 동해 예방
○ 남부지역 이탈리아라이그라스 포장의 경우 초장이 40㎝이상으로 많이 자랐을 때는 약 20㎝정도 높이로 예취 이용하도록 한다
○ 웃자라서 엽끝고사가 많은 포장은 생장점이 얼지 않도록 흙덮기와 진압을 실시하고, 월동후 가급적 해빙과 동시 일찍 추비를 시용하도록 한다.
5 |
가축 위생관리 |
|
○ 가축의 운동부족 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따뜻한 날에는 일광욕을 시켜 주고, 발굽을 정기적으로 손질해 주어 부제병 발생을 방지하며, 특히 밤에 어린 가축의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지 않도록 보온장비를 가동하여 준다.
○ 소 결핵병과 부루세라병 및 광견병은 인수공통전염병으로 해마다 발생이 되고 있어 예방을 위하여 쥐나 새 등 야생동물의 축사출입을 차단하고 정기적으로 가성소다 및 페놀 등 소독제를 사용하여 축사 내외부를 소독하고 자주 혈청검사를 받아 감염우 발견시에는 즉시 도태해야 한다.
○ 닭 뉴캣슬병과 가금티푸스 등 질병을 줄이기 위하여 양계장 출입자와 차량 및 야생조수에 대해 차단방역을 실시하고 예방프로그램에 따라 백신을 접종한다.
○ 겨울철 대설에 대비하여 축사와 가축분뇨 처리시설을 수시로 점검․정비하여 붕괴사고를 막고 가축분뇨 퇴비장은 적정량의 수분조절제를 혼합하고 액비저장탱크에는 발효제를 첨가하거나 폭기를 철저히 하여 부숙이 잘 되도록 한다.
Ⅸ. 저온(한파)대비 월동작물 관리대책
1 |
기상경과(11.25~12.25) |
|
❍ 평균기온은 2.8℃로 전․평년보다 각각 0.5℃, 0.2℃ 높았음
- 특히, 경기지역 기온은 2.3℃로 평년보다 0.6℃ 높게 나타남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평균 |
2011 |
1.3 |
-0.4 |
0.7 |
2.3 |
2.4 |
4.7 |
2.5 |
4.4 |
9.2 |
2.8 |
2010 |
0.1 |
-0.3 |
-0.2 |
1.7 |
1.8 |
4.2 |
2.0 |
4.0 |
9.0 |
2.3 |
평년 |
0.8 |
-0.2 |
0.3 |
1.8 |
2.1 |
4.5 |
2.3 |
4.4 |
9.2 |
2.6 |
전대 |
1.2 |
-0.1 |
0.9 |
0.6 |
0.6 |
0.5 |
0.5 |
0.4 |
0.2 |
0.5 |
평대 |
0.5 |
-0.2 |
0.4 |
0.6 |
0.3 |
0.1 |
0.1 |
0.0 |
0.0 |
0.2 |
❍ 총 강수량은 50.9㎜로 전․평년보다 각각 24.9㎜, 16.5㎜ 많았음
- 강원 강수량은 87.3㎜로 전․평년보다 각각 70.7㎜, 54.8㎜ 많았음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평균 |
2011 |
37.3 |
87.3 |
62.0 |
46.8 |
48.5 |
33.3 |
64.2 |
25.1 |
51.4 |
50.9 |
2010 |
14.9 |
16.6 |
18.8 |
25.1 |
28.8 |
22.4 |
30.7 |
26.7 |
60.5 |
26.0 |
평년 |
25.9 |
32.5 |
30.4 |
37.0 |
40.7 |
34.3 |
33.9 |
28.9 |
58.6 |
34.4 |
전대 |
22.4 |
70.7 |
43.2 |
21.8 |
19.7 |
10.9 |
33.5 |
-1.6 |
-9.1 |
24.9 |
평대 |
11.4 |
54.8 |
31.5 |
9.9 |
7.8 |
-1.0 |
30.3 |
-3.8 |
-7.2 |
16.5 |
❍ 일조시간은 145.9시간으로 전․평년보다 각각 38.3, 17.1시간 적었음
- 전북지역 일조시간 118.1시간으로 전․평년보다 213.9, 36.7시간 적었음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평균 |
2011 |
159.9 |
151.5 |
150.0 |
122.4 |
118.1 |
146.8 |
147.7 |
176.6 |
99.8 |
145.9 |
2010 |
159.9 |
159.2 |
176.4 |
169.7 |
332.1 |
161.8 |
172.5 |
186.8 |
123.3 |
184.2 |
평년 |
159.2 |
161.1 |
159.1 |
156.4 |
154.8 |
160.7 |
170.8 |
183.2 |
127.4 |
163.0 |
전대 |
0.0 |
-7.6 |
-26.4 |
-47.3 |
-213.9 |
-15.0 |
-24.8 |
-10.2 |
-23.5 |
-38.3 |
평대 |
0.7 |
-9.6 |
-9.1 |
-34.0 |
-36.7 |
-14.0 |
-23.1 |
-6.6 |
-27.6 |
-17.1 |
2 |
주산지역 농작물 생육상황 |
|
❍ 12월 기상여건이 좋아 일부포장은 생육이 과번무 상태이나, 어린이삭(유수)이 지중에 위치하여 동해 우려는 크지 않은 상태
* 파종깊이 2~3cm, 엽수3~6엽에서 월동시 100% 생존
❍ 배수가 불량한 포장을 중심으로 습해 및 병해충 발생 증가, 최근 기온이 떨어지고, 강수량이 적으면서 회복되고 있는 추세
❍ 마늘의 경우 정식이후 기온이 높게 지속되어 일부포장은 과번무상태
❍ 잦은 강우로 배수가 불량한 포장의 경우 황화현상 등 생육부진 발생
❍ 고자리파리, 뿌리응애 등 병해충 발생 증가
❍ 벼 후작으로 재배되는 시설수박 등이 잦은 강우로 하우스 설치 및 정식 지연, 시설내 습도 증가로 일부지역 곰팡이성 병 증가 추세
3 |
작물별 관리대책 |
|
❍ 땅이얼기 전 배수구 정비로 습해 피해 감소
❍ 배수 작업을 겸한 흙넣기와 트랙터 부착 로울러 이용 보리 밟기
❍ 씨뿌린 직후에 유기물을 덮어주지 못한 포장은 12월 중․하순경 생육이 완전 정지된 후 퇴비, 거친 두엄, 왕겨 등을 10a당 1,000kg 기준으로 덮어주는 것이 좋음
❍ 파성이 낮은 품종은 온난화 지속시 유수형성으로 인한 동해가 우려되므로 답압, 트랙터 부착모아를 이용한 상부엽 절단
❍ 과번무하여 월동시 피해가 예상되는 청보리포장은 저온에 의한 지상부 고사 이전에 예취하여 풋먹이 이용권장
❍ 마늘은 파종후 토양이 건조하지 않도록 물주기를 실시하며, 특히 겨울동안 땅이 건조해지기 쉽고 또한 얼기 때문에 반드시 짚이나 퇴비, 건초, 왕겨 등으로 덮어주어 월동율을 높여 줌
❍ 한지형 마늘의 경우 가을철 이상고온에 따른 출현으로 동해피해가 우려되므로 볏짚이나 왕겨 등을 덮어주어 월동율 증대
❍ 겨울철 서릿발 피해대비 흙덮기 실시
❍ 과번무된 포장은 웃거름 시비 지양
❍ 배수구 정비로 습해 피해 감소
❍ 습해로 생육부진포장은 엽면시비를 하여 생육을 촉진하되, 지나친 웃거름으로 웃자라지 않도록 관리
☞ 문의 : 농촌진흥청 (031) 299-2723
'농진청 주간농사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2년 주간농사정보 제3호(2012.01.15~2012.01.21) (0) | 2012.01.15 |
---|---|
2012년 주간농사정보 제2호(2012.01.08~01.14) (0) | 2012.01.09 |
주간 농사정보 제53호(2011.12.25~2011.12.31) (0) | 2011.12.22 |
주간 농사정보 제51호(2012.12.11~2011.12.17) (0) | 2011.12.09 |
주간농사정보 제50호(2011.12.04~2011.12.10) (0) | 2011.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