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주간농사정보

주간농사정보 제50호(2011.12.04~2011.12.10)

코코팜1 2011. 12. 2. 18:14

 

목      차



Ⅰ. 기상전망                                                    1

  Ⅱ. 벼농사                                                     2

  Ⅲ. 밭작물                                                     4

  Ⅳ. 과수                                                        6

  Ⅴ. 채소                                                        7

  Ⅵ. 화훼                                                       13

  Ⅶ. 특용작물                                                 14

  Ⅷ. 축산                                                       15

  Ⅸ. 저온(한파)대비 월동작물 관리대책                     19

  Ⅹ. 농작물 재배예방 관리기술                            34 

 

 

 기상전망

1개월(12월 상순~하순)·3개월 전망('11.12~'12.2)

 

   

기온은 12월과 1월에 평년과 비슷하겠으나, 2월에는 평년보다 높겠음

(12월) 전반에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겠으나 후반에는 대륙고기압이 확장해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져 춥겠음.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 1월) 차고 건조한 대륙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춥겠으나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 2월) 대륙고기압과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교대로 받아 기온의 변동폭이 크겠음. 기온은 평년보다 높겠음. 북고남저의 기압배치가 형성되어 동해안   지역에 많은 눈이 올 때가 있겠음. 기압골의 영향으로 비 또는 눈이  오겠고, 내륙산간에는 눈이 오는 곳도 있겠음.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겠음


순별, 월별 예보

 

 

【1개월(12월 상순~하순) 전망 요약】


순별

평 균 기 온

강 수 량

12월 상순

 평년(-1~7℃)보다 높겠음

 평년(7~19㎜)보다 많겠음

12월 중순

 평년(-3~5℃)과 비슷하겠음

 평년(411㎜)과 비슷하겠음

12월 하순

 평년(-4~5℃)보다 낮겠음

 평년(416㎜)과 비슷하겠음


【3개월(2011년 12월~2012년 2월) 전망 요약】


월별

평 균 기 온

강 수 량

 12월

 평년(-3~6℃)과 비슷하겠음

 평년(15~42㎜)과 비슷하겠음

 1월

 평년(-5~3℃)과 비슷하겠음

 평년(18~55㎜)과 비슷하겠음

 2월

 평년(-2~5℃)보다 높겠음

 평년(19~61㎜)보다 많겠음

 

 

 벼농사

볍씨 준비

 

 

  ○ 벼 보급종은 자기 지역에 공급되는 품종과 그 품종의 특성을 미리 알아보고 기간 내에 시군농업기술센터에 신청하도록 한다.

  ○ 내년에 심을 볍씨는 지역에서 추천하는 고품질 품종 중에서 보급종을 신청하거나 순도 높은 우량종자 생산 농가와 자율교환을 하여 확보하도록 한다.

  ○ ‘11년산 벼 보급종 종자 신청 기간

구 분

기간

담당기관

비고

공급예시

‘11.11.10.까지

각 지원, 지자체

읍․면․동까지 공급예시

기본신청

‘11.11.11.~12.25.

시군농업기술센터

 

농업인상담소

 

읍면동주민센터

공급예시 물량 범위내에서 신청

신청물량 조정

‘11.12.26.~12.29.

읍면동 간 신청물량 조정,

시군별 남는 물량에 대해 해당지역에서 선착순 신청

‘11.12.30~’12.1.5.

시군 간 신청물량 조정,

도별 남는 물량에 대해 해당지역에서 선착순 신청

추가신청

‘12.1.6.~1.31.

전국 남는 물량에 대해 선착순 신청


논토양 개량

 

 

  ○ 땅심을 높이기 위해 볏짚을 깔아 준 논은 18㎝ 이상 깊이갈이를 해서 볏짚이 잘 썩도록 해 주어야 내년도 농사에 지장이 없고, 고품질의 쌀을 생산할 수 있다.

  ○ 가축을 사육하고 있는 농가에서는 겨울 동안 볏짚, 보릿짚 등을 이용 외양간두엄을 생산하여 모아 놓았다가 봄갈이하기 전에 퇴구비로 이용하도록 한다.

  ○ 모래논 등 찰흙이 적어 생산력이 떨어지는 논은 찰흙함량이 많은 양질의 흙으로 객토를 하여 토양조건을 개선하도록 하고, 유기물 주기 등 토양을 종합 개량하여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농기계 보관

 

 

  ○ 겨울철 농기계는 눈․비를 맞지 않는 안전한 곳에 보관하도록 하고, 보관시 트랙터는 클러치를 떼어놓고 유압 리프트암을 올린 상태로 보관하도록 한다.

  ○ 콤바인은 컴프레서 등을 이용하여 깨끗이 청소해 주도록 하고, 예취날은 그리스를 발라 녹이 슬지 않도록 한다.

  ○ 겨울 동안 사용하지 않는 쟁기, 로터리 등 작업기는 오일을 발라 주어 녹이 슬지 않도록 해 준다.


벼 수확 후 관리

 

 

  ○ 미곡저장 중 온도 및 습도가 높으면 저곡해충 발생 및 미곡의 양적․질적 손실이 심할 뿐만 아니라 화학적 변화도 많이 일어나 품질이 떨어진다.

  ○ 저장성을 높이기 위하여 곡물의 수분함량을 15%이하로 유지하고 장고내의 온도는 15°c이하, 습도는 70%이하가 되게 하고, 공기조성은 산소 5~7%, 탄산가스 3~5%로 유지시켜 준다. 

 

 

 밭작물

보리밭 관리

 

 

  ○ 벼 수확이 늦어 늦게 파종한 보리는 월동 전까지 4~6매의 주간엽수를 확보여야 안전한 월동을 할 수 있으므로, 생육이 저조한 포장은 가능한 퇴비나 거친 두엄, 왕겨 등을 덮어주어 안전한 월동이 되도록 한다.

  ○ 월동 중에 이상난동으로 보리가 웃자랄 수 있으므로 웃자람 방지를 위해서 배수작업을 겸한 흙덮기 작업을 해주도록 한다.

  ○ 특히, 습해에 약한 보리가 습해를 받게 되면 뿌리가 깊게 뻗지 못하고 양분 흡수가 곤란하여 황화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월동  전에 배수구 중간의 막힌 곳을 터주고 포장 양끝의 보머리 트기 작업을 해주어 습해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여 준다.


감자․고구마

 

 

  ○ 감자 저장에 적당한 조건은 온도 2~4℃, 습도는 80~85%를 유지하여 주고, 고구마는 온도 12~15℃, 습도는 85~90%를 유지해 주어 고품질의 서류 생산이 되도록 하고,

  ○ 감자 시설재배는 싹틔움상(育芽床)을 설치하여야 하는데 지역에 따라 다르나 남부지방은 지역 실정에 알맞게 12월 중순부터 설치하도록 한다.


보리, 밀 월동관리 대책

 

 

  ○ 배수구 정비로 습해 피해를 감소한다.

  ○ 배수 작업을 겸한 흙넣기와 트랙터 부착 로울러 이용 보리 밟기를 한다.

  ○ 씨뿌린 직후에 유기물을 덮어주지 못한 포장은 12월 중․하순경 생육이 완전 정지된 후 퇴비, 거친 두엄, 왕겨 등을 10a당 1,000kg 기준으로 덮어주는 것이 좋다.

  ○ 월동전․후 분얼이 왕성할 때 까지는 1㎝정도, 무효분얼기 이후는 2~3㎝ 이상의 깊은 토입으로 분얼억제와 도복방지 및 잡초발생을 억제한다. 

 

 

 과수

 

과원관리

 

  

  ○ 낙엽, 떨어진 과실, 잡초 기타 썩은 가지 등은 생육기간 중에 발생한 병해충의 월동장소가 되므로 휴면기 경운 작업 시 뒤집어 주거나 한 곳에 모아 태우거나 땅속에 묻어주어 병충의 밀도를 조기에 제거함으로 내년 병해충에 의한 피해를 줄이도록 한다.

  ○ 관수시설의 동파 우려가 되는 부분의 물을 완전히 제거해 주고, 부직포나 부초가 두껍게 되어 있는 부분은 쥐 등의 서식처를 제공하므로 뿌리에 상처를 줄 수 있으며 지열의 발산을 막아 동해 피해 및 봄철 개화시 늦서리 피해를 받기 쉬우므로 제거해 준다.

  ○ 반사필름, 받침대 등은 깨끗이 정리하도록 한다.

  ○ 동해 피해를 받기 쉬운 원줄기, 주지는 지상에서 80~100cm 부위까지 짚, 방한매트로 싸매 주는 방법과, 백도제 또는 수성페인트를 지상에서 1m 부위(첫 번째 결과지)까지 발라 보호하고, 내한성이 약한 포도는 땅에 묻거나 싸매 주며, 어린 묘목이나 세력이 약한 나무는 짚 등으로 땅에서부터 1m 정도 부위까지 싸맨 후 30㎝ 정도 흙으로 덮어서 동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

  ○ 배수가 불량한 땅에서 자란나무는 수세가 약하므로 동해를 받기 쉽기 때문에 반드시 배수가 잘 되도록 하여 주어야 한다.

  ○ 조류 피해방지를 위해 씌웠던 방조망은 눈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양측면으로 걷었다가 봄에 다시 씌우도록 한다.


과실 저장고 관리

 

 

  ○ 과실 저장고에 상자는 너무 많이 쌓지 말고 3~4상자마다 통로를 만들어 공기 유통이 잘 되도록 하고,

  ○ 저장고 벽에서는 30~50㎝, 천장에서는 50㎝ 정도의 공간을 유지시켜 환기가 잘 되도록 해 준다.

 

 

 채소

시설채소

 

 

  ○ 시설 난방비 절감을 위해서 하우스 피복자재를 개선하여 보온력을 높이고, 지중가온 및 수막하우스 시설 등을 이용하여 난방에너지를 절약토록 한다.

  ○ 낮에는 환기를 알맞게 실시하여 과습과 고온장해를 예방하도록 한다.

  ○ 보온용 커튼이나 피복재는 해가 뜨는 즉시 걷어 주어 햇빛을 많이 받을 수 있도록 하고, 해가 지기 전에 덮어서 보온력을 높이도록 관리한다.

  ○ 눈이 많이 내릴 때는 지붕 위에 쌓이지 않도록 쓸어내리고, 하우스 주변의 배수로를 잘 정비하여 하우스 안이 과습하지 않도록 하며, 폭설 등 재해가 우려되는 지역에서 작물을 재배하지 않는 빈 하우스는 피복된 비닐을 벗겨 두어 기상재해를 막도록 한다.

  ○ 육묘중인 오이․토마토․풋고추 등의 열매채소는 야간 최저온도를 12℃ 이상, 배추, 상추 등 잎채소는 8℃ 이상 유지되도록 가온 등의 보온관리를 한다.

  ○ 관수용 물은 2~3일전에 미리 받아 사용하고 점적관수를 이용하여 오전 중에 주도록 하며, 알맞은 양을 주어 토양이 과습하지 않도록 한다.

  ○ 시설원예 난방비 절감을 위해서 하우스 피복 자재를 개선하여 보온력을 이도록 하고, 온풍난방기 배기열회수장치, 일사감응자동변온장치, 지중가온 시설 및 수막하우스 시설을 이용하여 난방 에너지를 절약토록 한다.

  ○ 지역적으로 강풍에 대비하여 고정끈을 튼튼히 매주고, 강풍이 불 때는 환기창을 모두 닫아 완전히 밀폐시켜 비닐과 골재가 밀착되도록 한다.


마늘․양파

 

  ○ 적기보다 일찍 파종한 마늘과 일찍 정식한 양파 등은 월동기간 동안 온도가 높으면 자람을 계속하게 되어, 갑작스러운 한파 시 동해 피해를 입을 우려가 있으므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 마늘, 양파 포장에 피복한 비닐은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끝마무리를 잘 해주어 건조 피해를 막아주고 비가 많을 경우 토양 과습으로 인한 습해를 받을 수 있으므로 물이 고여 있지 않도록 배수로를 다시 한번 정비하여 습해 피해를 받지 않도록 해 준다.

  ○ 한지형마늘 지배지역 중 일부 포장에서 싹이 올라와 동해의 우려가 있으므로 짚, 부직포 등으로 피복하여 피해를 감소시킨다.


병해충 발생정보

 

토마토황화잎말림병(TYLCV)

 ○ 토마토, 고추 등 가지과 작물에서 발생하는 토마토황화잎말림병은 담배가루이(Q계통)에 의해 전염되므로 포장을 잘 살펴보고 잎 뒷면과 포장주위를 잘 살펴보아 담배가루이를 철저히 방제

   ☞ 병을 전염시키는 해충의 세대 기간이 짧아 연간 발생횟수가 많고 증식률이 높으므로, 방충망을 이용하여 유입 방지 및 발생초기 방제하고, 육묘시 철저한 관리로 병이 확산되는 것을 예방

  측창망사 : 가루이가 들어가지 못하는 크기(60~80mesh), 환기시설 필요

  ○ 발생지역 육묘장에서 감염된 묘를 통해 타지역으로 확산될 수 있으므로, 농가에서는 묘 구입시 바이러스에 걸리지 않은 건전한 묘를 구입하고, 시설작물 재배 주변지역은 기주식물이 되는 잡초제거 및 병든 식물체는 조기에 제거해주어야 함

   ☞ 기주식물 : 큰개불알풀, 광대나물, 별꽃, 큰망초, 쑥, 머위

  ○ 담배가루이는 추위에 약하므로 겨울철 작물을 재배하지 않는 시설하우스는 기온이 매우 낮은 날 한밤중에 하우스 문을 열어 방제하는 방법 활용 

꽃노랑총채벌레, 오이총채벌레, 아메리카잎굴파리, 담배가루이, 온실가루이, 진딧물, 점박이응애 

  ○ 꽃노랑총채벌레, 오이총채벌레 등 총채벌레 오이, 고추, 토마토, 국화, 거베라, 장미, 감귤 등 시설 내에서는 연중 발생하는 해충으로, 초기에 발생 상황을 알지 못하여 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고 바이러스병을 전염시켜 큰 피해를 줌

  ○ 아메리카잎굴파리는 거베라, 국화 등 화훼류와 토마토, 가지 등에서 발생이 많으며, 잎 속에 굴을 파고 다니면서 잎살을 갉아먹는 피해를 줌

  ○ 담배가루이, 온실가루이는 가지과 작물에, 진딧물은 엽채류에서 주로 발생하며 식물 즙액을 빨아먹는 직접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그을음병을 유발하여 상품성을 떨어리고, 딸기가 점박이응애의 피해를 받으면 잎이 누렇게 변하여 말라죽게 됨 

  ☞ 이들 해충은 초기에 방제해야 효과적이므로 끈끈이트랩을 매달아 놓고 주의 깊게 예찰하고, 발견 초기 천적을 통한 생물학적 방제를 활용하거나 적용약제로 방제 

딸기․토마토․고추․오이․상추․잎들깨 등의 잿빛곰팡이병, 균핵병

  ○ 딸기․토마토․고추 등의 잿빛곰팡이병은 시설내의 온도가 20℃ 전후로 낮고 습도가 100%에 가까울 정도로 높은 조건에서 발생되며 병든 식물을 그대로 둔 채 환기를 시키면 병이 더 많이 발생할 수 있음

   ☞ 적절한 환기로 시설 내의 습도를 낮추어 주되 보온에 유의하고, 시설 내에서 병이 발생되면 급속하게 번지는 특성이 있으므로 발생 초기에 적용약제로 방제하되 약제를 바꾸어 가며 사용해야 함

  ○ 상추 등 잎채소의 잿빛곰팡이병균핵병시설재배에서 온도가 

낮고 습도가 높을 때 발생이 많으므로 시설 내 보온과 환기에 유의하여 발생을 억제하고, 발생 초기에 적용약제로 방제

  ○ 오이․토마토․고추․딸기의 균핵병은 잿빛곰팡이병과 비슷한 환경에서 발생되는 병으로 질소질 비료를 많이 주어 작물체가 연약하게 자랄 때, 연작에 의하여 병원균 밀도가 높을 때 많이 발생함

   ☞ 적절한 환기와 보온으로 시설 내의 온도를 20℃ 이상으로 유지하고, 병든 식물은 바로 없애주며, 잿빛곰팡이병과 동시 방제

참외․오이․메론․상추 등의 노균병 및 흰가루병 

  ○ 참외, 오이, 상추 등의 노균병은 시설 내의 습도가 높고 온도가 낮은(20℃ 전후) 조건에서 발생이 많으며, 일조량이 부족하거나 거름기가 모자라 작물 생육이 왕성하지 못할 때 발생이 많음

  ☞ 야간에 보온관리를 잘하여 저온이 되지 않도록 하고 웃거름 주기, 열매솎기와 햇볕 쪼임을 좋게 하여 강건하게 생육하도록 함과 동시에 시설 내의 습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환기에 유의

 ☞ 특히 오이 시설재배 중 환기를 시키는 과정에서 찬바람이 식물체에 직접 닿을 경우 노균병 발생이 심하게 되므로 환기를 할 때 유의

  ☞ 또한 병이 발생된 포장은 병든 잎을 일찍 따낸 다음 발생 초기에 적용농약으로 방제해야 함

 ○ 흰가루병은 하우스 등 시설재배에서는 분생포자가 공기로 전염되며, 일 

반적으로 15~28℃에서 많이 발생하고 32℃이상의 고온에서는 발생이 줄어듦

  ☞ 햇볕 쪼임이 부족하고 밤낮의 온도차이가 심하며 비료기가 많은 조건에서 발생이 많으므로 병든 식물은 즉시 제거하고 질소가 과용되지 않도록 균형시비를 하면서 병 발생 초기에 적용약제로 방제 

 

 

 화훼

  ○ 거베라 하우스 포장의 물주기는 오전 10시경에 하는 것이 과습에 의한 곰팡이병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 물주는 양은 토양조건, 작물의 상태, 햇빛 강도에 따라 다르므로 흐린 날이나 습할 때는 주는 양을 줄여 주어야 좋다.

  ○ 거베라는 건조에 강하기 때문에 10㎝ 깊이에 수분이 있으면 생육이 가능하므로 보통 점적관수에 의해서 주 1회 정도는 물을 주도록 하며,

  ○ 겨울철 시설 화훼재배는 기본적으로 환경관리가 중요하므로 작목별 적정 온도 유지와 환기에 의한 습도 관리에 특별히 유의하도록 한다. 

 

 

 특용작물

느타리버섯 재배

 

 

  ○ 느타리버섯 재배의 살균온도는 버섯배지(볏짚, 폐면)가 65~70℃ 유지켜준 상태에서 8시간 동안 온도를 지속시켜 주고, 50~55℃에서 2~3일간 발효시킨 후 충분히 환기를 실시 후 배지의 온도가 25℃ 내외에 이르렀을 때 종균을 접종하도록 한다.

  ○ 겨울철 저온성 느타리버섯을 재배하는 농가에서는 배지와 재배사 안의 온도가 10~16℃ 내외로 유지될 수 있도록 보온관리를 하여주고, 습도는 버섯발아 초기에는 90%이상, 생육기에는 80~85% 내외로 맞추어 주어 불량 환경에 의한 기형버섯 발생이 되지 않도록 한다.

  ○ 버섯 재배사는 보온관리가 되지 않으면 주야간 온도차이로 인한 병해의 발생이 빈번하므로 보온자재를 반드시 점검하여 보완하여 주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