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익한 농사정보

번식·육묘-복숭아 삽목묘 활착향상을 위한 멀칭재료(농진청)

코코팜1 2010. 2. 16. 10:52

농업기술명: 번식·육묘-복숭아 삽목묘 활착향상을 위한 멀칭재료
 
           
  복숭아 삽목묘 활착향상을 위한 멀칭재료
 
기관 : 전남농업기술원 난지과수시험장
 
성명 : 임경호
 
전화 : 061-330-2510
           
    복숭아나무의 묘목 번식은 야생종이나 재배종 복숭아나무의 실생 대목에 접목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나 종자 확보가 어렵고 대목을 양성, 관리해야 하며 다시 접목하는 등 많은 작업을 필요로 하며, 묘목 생산기간이 길고 묘목의 균일도가 떨어지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 재배되고있는 수형에는 개심자연형, 배상형, y자형이 있으나 노력 절감과 조기 증수를 위한 초밀식 저수고 재배를 실시하자면 삽목 번식에 의한 묘목 생산 기간과 원가를 줄이며 우량한 묘목을 대량 생산할 수 있고 삽목 이듬해부터 수확이 가능한 묘목의 번식 방법 개발은 중요한 연구 과제라 인정된다. 복숭아나무의 삽목 번식에 관한 연구는 경지삽, 녹지삽 및 반경지삽목 등과 같이 가지의 성숙도에 따라서 발근력에 차이가 있고, 삽수의 조건에 따라 삽수내의 발근물질의 함량이나 종류가 다르고 또한 삽수내 저장물질의 함량에 따라서도 발근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그리고 삽목 용토의 종류와 혼합 비율과 같은 물리적 성질에 의한 보수력이나 공기함량의 차이도 발근에 영향한다 이와 같이 삽목번식의 난이도는 식물의 종이나 품종, 삽수의 조건과 처리방법 뿐만 아니라 생장 조절물질의 종류와 농도 등에 의하여 그 양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1. 경지삽목 시기별 포장활착
    삽목 일수별 잎눈의 활동 상태를 관찰해 보면 삽목후 2주일 경부터 잎눈이 활동하기 시작하여 3∼4주 경에는 잎눈의 크기가 0.5∼1.0㎝까지 신장하는데, 삽목 시기가 늦을수록 잎눈의 생장이 많은 경향으로 이는 휴면타파에 의한 잎눈의 활동과 기온 상승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표 1에서 본 바와 같이 포장 활착율은 2월 상순과 중순에 삽목하여 3월 13일과 24일에 정식한 처리가 66.7∼67.4%로 높고, 2월 하순에 삽목 4월 4일 정식은 5.6%로 현저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표 1. 이식 시기별 포장 활착율과 1년생 묘의 생육
이식 시기(월. 일) 포장활착율(%) 수 고(㎝) 간 경(㎜)
3. 13
3. 24
4.  4
  66.7 a*
 67.4 a
  5.6 b
133 a
131 a
115 a
21.8 a
19.7 a
21.1 a
  주 : 1) * dmrt 0.05.
      2) 삽목일 : 2월 16일
      3) 삽목기간 : 35일
   
    정식시기별 지온과 포장활착률의 관계(표 2)를 보면 3월 중순 정식기 최저지온이 0.9∼5.5℃로 낮은데 활착률은 높은 반면 4월 상순은 5.0∼7.3℃로 높은 시기에 정식한 처리의 활착률이 낮았다. 이 결과는 포장활착에 관여하는 요인이 포장의 지온보다는 오히려 삽목 시기가 늦어 삽목상의 외부 기온이 관여하여 잎눈의 신장이 많아 삽목 기간과 삽수 굵기, 길이에서와 같이 삽수내 저장양분 소모가 주원인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경지삽목 시기는 외기온도와 지온이 낮은 2월 상순부터 중순에 삽목하여 3월 중순이나 하순에 포장에 이식하는 것이 포장 활착률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활착후 수고와 간경은 유의차 없이 수고 115㎝, 간경 19.7㎝이상으로 우량묘가 생산되었다.
   
 
표 2. 정식시기와 멀칭재료별 정식후 지온 변화 (단위 : ℃)
처리(멀칭재료) 3 중 순 3 하 순 4 상 순 평 균
외기온도 평 균 5      7.9   7.1   6.7
무 멀 칭 최 저
최 고
0.9
9.6
  3.1
12.1
  7.3
18.1
  3.5
13.3
흑색 p.e 최 저
최 고
1.6
14     
  4.1
12.6
5
13.9
  3.6
13.5
투명 p.e 최 저
최 고
2.2
17.5  
  5.5
15.2
  7.3
18.1

16.9
배색 p.e 최 저
최 고
1.5
15.2  
  3.8
15.6
  6.4
16.9
  3.9
16.9
  주) 1996. 3, 13~4. 4일 지중 10㎝ 깊이 조사
   
  2. 멀칭 재료별 포장활착
    흑색 p.e 필름과 백색 p.e 필름은 67.4%로 높고 무멀칭과 투명 p.e 필름은 21.1∼35.8%로 낮았다(표 3). 이는 그림 1, 표 2에서 본 바와 같이 정식시 관수나 강우후 토양 수분 함량과 지온의 변화가 적은 흑색 P.E 필름이 활착률이 높고 토양수분 함량과 지온의 변화가 심한 투명 p.e 필름과 무멀칭의 활착률이 낮게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지온의 영향보다는 토양수분 함량이 포장 활착률에 보다 많이 관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활착 후 수고와 간경은 모든 처리에서 삽목 당년에 우량묘가 생산되었다.
   
 
그림 1. 멀칭재료별 토양수분 함량 변화
   
 
표 3. 멀칭 재료별 포장 활착율과 1년생 묘의 생육
멀칭 필름 포장활착율(%) 수 고(㎝) 간 경(㎜)
무 멀 칭
투명 p.e 필름
흑색 p.e 필름
배색 p.e 필름
  21.1 c*
35.8 b
67.4 a
67.4 a
128 a
128 a
131 a
137 a
21.1 a
20.1 a
19.7 a
21.7 a
  주 : 1) * DMRT 0.05.
      2) 삽목일 : 2월 16일(삽목기간 : 35일)
      3) 정식일 : 3월 24일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복숭아 삽목묘 활착률 향상을 위한 경지 삽목 적기는 2월 상순∼중순(정식기:3월 중순∼하순)으로 시기가 빠를수록 포장 활착률이 좋았으며, 정식시 멀칭 재료는 지온의 편차와 토양 수분함량의 차이가 적은 흑색 p.e 필름 멀칭 처리가 포장 활착률이 높았다. 포장에서 활착후 1년생 묘의 수고, 간경 등 생육은 모든 처리에서 수고 97㎝이상, 간경 16.2㎜이상으로 삽목 당년에 우량묘가 생산 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