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복숭아 과수원 적지선정 및 개원 요령 |
|
|
기관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
성명 : 전지혜 |
|
전화 : 031-240-3672 |
|
|
|
|
|
|
|
|
복숭아는 내한성이 약하고 개화가 빨라 겨울의 동해나 개화기의 서리피해를 피할 수 있는 지역인지의 여부가 우선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중부 내륙지방을 제외한 전지역은 재배가 가능하다. |
|
|
|
1. 적지선정시 고려 사항 |
|
|
가. |
온도 : 휴면기에는 내한성이 강하나 재배 1 싸이클(약 15년 주기)에 극기온이 -25℃에 이르는 지역은 불안정 지대이다. |
|
|
나. |
서리 : 각지역별 개화기때 서리피해 우려지대 |
|
|
다. |
일조와 강수량 : 생육 기간중의 다우는 일조시간을 짧게 할 뿐만 아니라 눈 착생 불량, 병해충이 다발하고 품질 불량과 생산이 유발됨. |
|
|
라. |
토양 : 배수 양호한 양토로서 지하수위가 낮고 약산성인 토양 |
|
|
마. |
지형 : 기계화 및 생력화를 위해서는 평지가 적당하나 남향 또는 남동 방향의 경사지도 무난하나 건조 및 바람 피해 방지 시설이 요구됨. |
|
|
|
|
|
2. 개원요령 |
|
|
가. 평지 |
|
|
가장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배수로서 배수불량 중점토에서는 겉도랑(명거) 배수 또는 속도랑(암거) 시설을 하여야 한다. 겉도랑 배수는 열간에 폭 60㎝, 깊이 30㎝ 정도의 도랑을 파서 배수를 도모하고, 속도랑은 나무 재식열의 1m 깊이에 지름 10㎝의 암거배수용 유공관(시판중임)을 묻어주어 지하수위를 낮추고 배수도 도모하여야 한다. 각 재식열은 두둑을 30㎝정도 높여 정지한 후 재식하면 나무 생육에 유리하다. |
|
|
|
|
|
나. 경사지 |
|
|
경사지에서의 개원은 땅심을 높이고 표토의 유실과 수분부족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심경과 유기물의 투입에 힘쓰고, 피복작물을 재배하여 자주 깎아 주고 나무 밑에 깔아줌으로써 땅심을 높여주어야 한다. 경사지에서의 개원은 기계화 작업이 가능하도록 경사를 줄이는 평탄화 작업을 실시하거나 등고선에 따른 계단식으로 조성하여 농기계의 주행 및 토양유실을 방지하여야 한다. |
|
|
|
|
|
 |
|
|
그림 1. 복숭아 경사지 경사원 |
|
|
|
참 고 문 헌 |
|
|
|
농촌진흥청. 1995. 복숭아 재배. 농협중앙회. 1996. 복숭아 재배기술과 경영. 사단법인 농산어촌문화협회. 1985. 과수전서. |
|
|
|
|
|
|
|
집필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전지혜 (전화 : 031-240-367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