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작물 병해충 발생정보
(제11호 : 2009. 8. 16 ~ 8. 31)
2009 8. 14
농촌진흥청은 흰잎마름병, 이삭도열병과 흰등멸구․혹명나방 등 비래해충을 비롯하여 고추 역병․탄저병, 고랭지채소 무름병․배추좀나방, 단감 탄저병, 사과 겹무늬썩음병,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심식나방에 대하여 정보를 발표하오니 병해충 방제를 잘하여 피해를 예방하시기 바랍니다.
주요 병해충
1. 흰잎마름병, 잎집무늬마름병 등(주의보), 벼멸구 등 비래해충(예보)
- 흰잎마름병은 장마기간 중 세균 감염이 많아져 발생증가 예상, 사전방제 철저
- 잎집무늬마름병은 가지치기가 많고 거름기가 많은 논 등에서 발생이 많으므로 서둘러서 방제
- 멸구류 상습 발생지역과 남서해안지역은 예찰결과에 따라 방제
2. 고추 역병, 탄저병, 세균성반점병, 담배나방, 총채벌레(주의보)
- 역병은 이병주 제거 및 약액을 충분히 살포
- 탄저병은 병 발생 초기에 예방위주로 적용약제 살포
- 담배나방은 발생 초기에 유충이 과일에 침입하기 전에 방제
3. 고랭지채소 배추좀나방, 진딧물 등(예보)
- 해충 방제시 천적을 고려하여 저독성 농약으로 방제
4. 포도 갈색무늬병, 노균병, 탄저병, 꽃매미(예보)
- 갈색무늬병 등은 잎 뒷면까지 정밀방제 하되 가급적 비오기 전후 중점방제
- 꽃매미는 성충 이동시기를 고려하여 나무 주간까지 철저히 방제
5. 복숭아순나방(주의보), 복숭아심식나방, 노린재류, 응애류(예보)
- 기온이 올라가면 해충의 밀도가 높아지므로 피해가 급증 할 우려가 있으니 과원을 잘 살펴보고 초기 방제에 역점을 둠
- 방제 시는 농약 안전사용기준을 잘 지켜 안전한 농산물 생산 -
식량작물 병해충
1. 이삭도열병, 흰잎마름병, 잎집무늬마름병(주의보)
<흰잎마름병>
○ 이삭도열병은 조생종의 경우 큰 발생 없이 이삭목이 굳어지고 있으나, 중만생종은 이삭 패는 시기에 비오는 정도에 따라 발생이 다르므로 병에 약한 품종을 중심으로 이삭패기 20일 전부터 직전까지 방제
○ 흰잎마름병은 최근 강풍과 집중호우로 침관수 된 상습지를 중심
으로 발생이 늘어나고 있으니, 벼 잎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관리하고 지
하수 등 깨끗한 물을 이용하여 예방위주의 전문약제로 아침 이슬이 마
른 후에 살포
<잎집무늬마름병>
○ 잎집무늬마름병은 장마로 포장내 습도가 높고 기온이 높게 경과되어 가지치기가 많은 논이나 웃자란 논에서는 병무늬가 윗잎집으로 번져 출수 전에 방제가 소홀하면 이삭 팬 후에 등숙률이 떨어지고 미질이 나빠질 우려가 있음
- 병무늬 진전 상태를 보아 이삭 패기 전까지 방제하되 벼 포기 아
래쪽까지 약액이 충분히 살포
<깨씨무늬병>
2. 세균성벼알마름병, 이삭누룩병, 깨씨무늬병(예보)
○ 세균성벼알마름병은 이삭팰 때 비가 자주 오면서 온도가
높을 경우, 이삭누룩병은 온도가 낮을 경우 발생이 많음
○ 깨씨무늬병은 땅심이 낮은 논에서 발생이 많으므로 질소질 비료를 알
거름으로 주면 등숙률 향상에 기여
3. 흰등멸구, 혹명나방, 벼멸구(예보)
○ 흰등멸구는 충남, 전남, 경남 서남해안지역에서 약충과 성충이 혼
재되어 발생하고 있으며, 방제를 소홀히 할 경우 일부지역에서는 피해발
생이 우려되므로 예찰결과에 따라 방제밀도가 되면 적용약제로 방제
하고 친환경재배 농가는 효과가 좋은 제제를 선택하여 방제
〈혹명나방 유충〉
○ 혹명나방은 현재 발생은 적은 편이지만, 발생 충태가
성충 또는 4~5령 노숙유충으로 이들이 증식할 경우, 8
월 중순 이후 피해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음
- 발견 포장에서는 초기에 다른 병해충과 동시방제
<벼멸구 약충>
○ 벼멸구는 현재 남해안 일부지역에서 낮은 밀도로
발생되고 있으나 고온이 지속되면, 8월 중순부터 밀도
가 급격히 증가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발생밀도가 요방제 수준을 넘어서
면 초기방제 실시
- 남서해안 지역 등 발생상습지는 시군별 예찰을 강화하여 요방제
밀도 시 초기방제로 피해를 받지 않도록 농업인 교육 및 홍보
원예작물 병해충
1. 고추 역병, 탄저병, 세균성반점병, 담배나방, 총채벌레(주의보)
<고추 역병>
○ 역병은 연작지 등에서 물로 전염되므로 배수로 정비를 철저히 하고 병 발생이 우려되면 땅 닿는 부분에까지 약액이 충분히 묻도록 방제
○ 탄저병은 고온이 지속되어 병 발생이 번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병
발생 초기에 예방위주로 적용약제 살포
○ 세균성반점병은 고온에서 발생이 심한 병으로, 질소비료 과다 시
용을 지양하고 사전 예방위주로 적용 약제를 살포
○ 담배나방은 유충이 과실 속에 침입하여 가해를 하므로 침투성 약
제를 살포해야 효과적이며, 총채벌레는 꽃 속이나 열매꼭지 주변에서
주로 활동하고 피해를 주기 때문에 약제 살포시 노즐을 아래쪽에서 위쪽
으로 향하게 하여 철저히 살포
○ 총채벌레는 직접 피해뿐만 아니라 바이러스를 매개하기 때문에
노란색 끈끈이트랩을 설치하여 5~6마리 유인이 확인되면 적용약제를 즉
시 살포
○ 고추와 토마토 밭에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는 꽃노랑총채벌레가
매개하므로 사전에 예찰을 강화하고 발생 시 전용약제를 살포하고
(주변 잡초까지), 시설 재배에서는 측창에 방충망 설치로 외부에서
유입 되는 것을 차단
- 병 증상이 보이면 병든 포기를 뽑아 땅에 묻거나 태워 제거
․고추 : 선단부위 잎이 황화증상이 나타나며 일부 괴사 증상 발현
․토마토 : 잎은 연한 황화증상이 나타나면서 짙은 보라색으로 변색
- 발생지역에서는 토마토, 고추, 가지, 상추 등의 작물재배를 피하고 시
설재배 시 정식 전 토양소독으로 매개충인 총채벌레의 성충과 번데기
밀도를 초기에 낮춤과 동시에 주기적으로 방제
<노지고추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병 피해>
<배추좀나방>
2. 고랭지채소 무름병, 배추좀나방, 진딧물 등(예보)
○ 무름병은 비가 자주 오고 온․습도가 높게 지속되면
병균 감염에 유리한 조건이 되어 잎에 상처를 많이 받았던 포기에서부
터 발병되니, 예방위주로 적용약제를 7일 간격으로 2~3회 살포
○ 고랭지채소 포장을 중심으로 나방류 해충이 다발생하여 피해를 주
고있어 고온 지속시 해충피해가 급증할 우려가 있음
- 고랭지채소 해충 방제시 천적을 고려하여 저독성 농약을 살포
3. 토마토 굴파리류(예보), 담배가루이(주의보)
<담배가루이 성충>
○ 아메리카잎굴파리는 침투성 적용약제를 돌려가며 7일 간격으로 3회 살포하고 예찰은 노란색 끈끈이트랩을 이용
○ 담배가루이는 노란색 끈끈이트랩을 이용하여 예찰하고 한 마리라
도 트랩에 유인되면 즉시 적용약제로 방제하여야 바이러스병으로 인
한 더 큰 피해를 예방할 수 있음
<포도 노균병>
4. 포도 갈색무늬병, 노균병, 탄저병(주의보)
○ 금년에는 장마가 길어 병 발생이 급증할 우려가 있
으니 잎 뒷면까지 정밀방제 하되 가급적 비오기 전후 중점 방제하고
수확 중인 과원에서는 농약안전사용기준을 반드시 준수
<꽃매미 성충>
5. 포도 꽃매미(예보)
○ 인근야산에 있는 꽃매미 성충이 포도밭에 날아와
일부 피해가 나타나고 있으므로 성충의 이동시기를 고려하여 포도나
무 잎 뒷면 및 주간까지 정밀방제 하되 수확기를 고려하여 농약안전사
용기준을 준수하여 방제
<사과 탄저병>
6. 사과 갈색무늬병․겹무늬썩음병․탄저병․점무늬낙엽병, 복숭아 잿빛무늬병․세균성구멍병, 단감 탄저병(예보)
○ 사과는 전반적인 병 발생은 적은 경향이나 갈색무늬병과 겹무늬썩
음병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홍로 등 병 발생이 많은 품종은 탄저병 방
제에 유의
○ 복숭아는 장마기간을 지나면서 잿빛무늬병과 세균성구멍병 발생이 증
가
○ 단감은 장마시 강우로 습도가 높아 관리가 소홀한 과원은 탄저병
발생 및 확산이 우려되므로 적용 약제로 방제
○ 과원을 잘 살펴보아 비 오기 전후에 발생 상태에 따라 적용 약제로
방제하되, 수확기를 고려하여 농약안전사용기준 준수
7. 복숭아순나방(주의보), 복숭아심식나방, 사과굴나방, 진딧물, 노린재류, 응애류(예보)
<썩덩나무노린재>
○ 과실에 주로 피해를 주는 나방류와 노린재류의 밀도가 증가하고 있어 방제소홀시 피해가 우려됨
○ 노린재류는 대부분 과수원 외부에서 약충 상태로 번식하고 과수원
으로 날아오므로 과실위주로 자세히 살펴보고 발견되는 해충의 종류
에 따라 발생초기에 적용농약을 선택하여 방제
○ 응애류는 농약에 대한 내성이 강하므로 최근에 사용한 농약과 계
통이 다른 적용농약을 선택하여 잎 뒷면까지 고루 묻도록 충분한 양을
살포
8~9월 기상전망
기 상 청
□ 기 온
○ 평년(18~26℃)과 비슷하겠음
○ 8월 중순에는 평년과 비슷한 무더운 날씨를 보이겠으며 8월 하순
에는 상층 한기의 영향으로 평년보다 기온이 다소 낮은 경향을 보이겠
음
○ 9월 상순에는 평년과 비슷하겠음
□ 강수량
○ 평년(188~353㎜)과 비슷하겠음
○ 8월 중순에는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국지성 호우 가능성이 높겠음
○ 8월 하순과 9월 상순에는 대기불안정과 발달한 저기압의 영향으
로 지역에 따라 다소 많은 비가 오겠음
□ 기압계 전망
○ 8월 중순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으로 평년과 비슷한 무더운 날씨
를 보이겠으며 북쪽을 지나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중부지방을 중심으
로 국지성 호우 가능성이 높겠음
○ 8월 하순과 9월 상순에는 상층 한기의 영향으로 기온이 평년과 비슷
하거나 다소 낮은 경향을 보이겠으며, 대기가 불안정하여 국지성 호우
발생 가능성이 높겠고 발달한 저기압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내리는 곳이
있겠음
○ 8월 하순에는 강수량이 평년보다 많겠으나 9월 상순에는 강수량
이 평년과 비슷하겠음.
□ 순별 예보
순별 |
날 씨 |
기 온 |
강수량 |
상순 |
구름 많겠음 |
평년(20~27℃)과 비슷 |
평년(39~133㎜)과 비슷 |
중순 |
구름 많겠음 |
평년(19~27℃)과 비슷 |
평년(44~112㎜)과 비슷 |
하순 |
흐린 날 많겠음 |
평년(18~26℃)보다 낮음 |
평년(78~155㎜)보다 많음 |
'유익한 농사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흑구술. 거봉 캠벨얼리 뿐인 포도시장에 합류 (0) | 2009.08.28 |
---|---|
과수원의 일석삼조 "크림손클로버"(농진청) (0) | 2009.08.28 |
- 농촌진흥청, 양질의 사일리지 만드는 방법 소개 - (0) | 2009.08.13 |
-농진청, 진딧물 방제 위한 미생물 이용 균주 개발․보급- (0) | 2009.08.13 |
2009년도 귀농귀촌 정착지원 사업지침(농림수산식품부) (0) | 2009.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