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익한 농사정보

농작물 병해충 발생정보(농진청)

코코팜1 2009. 8. 20. 17:04

농작물 병해충 발생정보

(제11호 : 2009. 8. 16 ~ 8. 31)


2009 8. 14

농촌진흥청은 흰잎마름병, 이삭도열병과 흰등멸구․혹명나방 등 비래해충을 비롯하여 고추 역병․탄저병, 고랭지채소 무름병․배추좀나방, 단감 탄저병, 사과 겹무늬썩음병,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심식나방에 대하여 정보를 발표하오니 병해충 방제를 잘하여 피해를 예방하시기 바랍니다.

 

 

주요 병해충

1. 흰잎마름병, 잎집무늬마름병 (주의보), 벼멸구 등 비래해충(예보)

  - 흰잎마름병은 장마기간 중 세균 감염이 많아져 발생증가 예상, 사전방제 철저

  - 잎집무늬마름병은 가지치기가 많고 거름기가 많은 논 등에서 발생이 많으므로 서둘러서 방제

  - 멸구류 상습 발생지역과 남서해안지역은 예찰결과에 따라 방제


2. 고추 역병, 탄저병, 세균성반점병, 담배나방, 총채벌레(주의보)

  - 역병은 이병주 제거 및 약액을 충분히 살포

  - 탄저병은 병 발생 초기에 예방위주로 적용약제 살포

  - 담배나방은 발생 초기에 유충이 과일에 침입하기 전에 방제


3. 고랭지채소 배추좀나방, 진딧물 등(예보)

 - 해충 방제시 천적을 고려하여 저독성 농약으로 방제

4. 포도 갈색무늬병, 노균병, 탄저병, 꽃매미(예보)

  - 갈색무늬병 등은 잎 뒷면까지 정밀방제 하되 가급적 비오기 전후 중점방제

  - 꽃매미는 성충 이동시기를 고려하여 나무 주간까지 철저히 방제


5. 복숭아순나방(주의보), 복숭아심식나방, 노린재류, 응애류(예보)

  - 기온이 올라가면 해충의 밀도가 높아지므로 피해가 급증 할 우려가 있으니 과원을 잘 살펴보고 초기 방제에 역점을 둠

- 방제 시는 농약 안전사용기준을 잘 지켜 안전한 농산물 생산 -


 

식량작물 병해충

 

1. 이삭도열병, 흰잎마름병, 잎집무늬마름병(주의보)

<흰잎마름병>

 ○ 이삭도열병은 조생종의 경우 큰 발생 없이 이삭목이 굳어지고 있으나, 중만생종은 이삭 패는 시기에 비오는 정도에 따라 발생이 다르므로 병에 약한 품종을 중심으로 이삭패기 20일 전부터 직전까지 방제

 ○ 흰잎마름병은 최근 강풍과 집중호우로 침관수 된 상습지를 중심

으로 발생이 늘어나고 있으니, 벼 잎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관리하고 지

하수 등 깨끗한 물을 이용하여 예방위주의 전문약제로 아침 이슬이 마

른 후에 살포

<잎집무늬마름병>

 ○ 잎집무늬마름병은 장마로 포장내 습도가 높고 기온이 높게 경과되어 가지치기가 많은 논이나 웃자란 논에서는 병무늬가 윗잎집으로 번져 출수 전에 방제가 소홀하면 이삭 팬 후에 등숙률이 떨어지고 미질이 나빠질 우려가 있음

   - 병무늬 진전 상태를 보아 이삭 패기 전까지 방제하되 벼 포기 아

래쪽까지 약액이 충분히 살포


<깨씨무늬병>

2. 세균성벼알마름병, 이삭누룩병, 깨씨무늬병(예보)

 ○ 세균성벼알마름병은 이삭팰 때 비가 자주 오면서 온도가

높을 경우, 이삭누룩병은 온도가 낮을 경우 발생이 많음

 ○ 깨씨무늬병은 땅심이 낮은 논에서 발생이 많으므로 질소질 비료를 알

거름으로 주면 등숙률 향상에 기여


3. 흰등멸구, 혹명나방, 벼멸구(예보)

 ○ 흰등멸구는 충남, 전남, 경남 서남해안지역에서 약충과 성충이 혼

재되어 발생하고 있으며, 방제를 소홀히 할 경우 일부지역에서는 피해발

생이 우려되므로 예찰결과에 따라 방제밀도가 되면 적용약제로 방제

하고 친환경재배 농가는 효과가 좋은 제제를 선택하여 방제

〈혹명나방 유충〉

 ○ 혹명나방은 현재 발생은 적은 편이지만, 발생 충태가

성충 또는 4~5령 노숙유충으로 이들이 증식할 경우, 8

월 중순 이후 피해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음

   - 발견 포장에서는 초기에 다른 병해충과 동시방제

<벼멸구 약충>

 

 ○ 벼멸구는 현재 남해안 일부지역에서 낮은 밀도로

발생되고 있으나 고온이 지속되면, 8월 중순부터 밀도

가 급격히 증가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발생밀도가 요방제 수준을 넘어서

면 초기방제 실시

   - 남서해안 지역 등 발생상습지는 시군별 예찰을 강화하여 요방제

밀도 시 초기방제로 피해를 받지 않도록 농업인 교육 및 홍보

 

원예작물 병해충


1. 고추 역병, 탄저병, 세균성반점병, 담배나방, 총채벌레(주의보)

<고추 역병>

 ○ 역병은 연작지 등에서 물로 전염되므로 배수로 정비를 철저히 하고 병 발생이 우려되면 땅 닿는 부분에까지 약액이 충분히 묻도록 방제

 ○ 탄저병은 고온이 지속되어 병 발생이 번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병

발생 초기에 예방위주로 적용약제 살포

 ○ 세균성반점병은 고온에서 발생이 심한 병으로, 질소비료 과다 시

용을 지양하고 사전 예방위주로 적용 약제를 살포

 ○ 담배나방은 유충이 과실 속에 침입하여 가해를 하므로 침투성 약

제를 살포해야 효과적이며, 총채벌레는 꽃 속이나 열매꼭지 주변에서

주로 활동하고 피해를 주기 때문에 약제 살포시 노즐을 아래쪽에서 위쪽

으로 향하게 하여 철저히 살포


 ○ 총채벌레는 직접 피해뿐만 아니라 바이러스를 매개하기 때문에

노란색 끈끈이트랩을 설치하여 5~6마리 유인이 확인되면 적용약제를 즉

 살포

 ○ 고추와 토마토 밭에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는 꽃노랑총채벌레가

매개하므로 사전에 예찰을 강화하고 발생 시 전용약제를 살포하고

(주변 잡초까지), 시설 재배에서는 측창에 방충망 설치로 외부에서

유입 되는 것을 차단

   - 병 증상이 보이면 병든 포기를 뽑아 땅에 묻거나 태워 제거

    ․고추 : 선단부위 잎이 황화증상이 나타나며 일부 괴사 증상 발현

    ․토마토 : 잎은 연한 황화증상이 나타나면서 짙은 보라색으로 변색

   - 발생지역에서는 토마토, 고추, 가지, 상추 등의 작물재배를 피하고 시

설재배 시 정식 전 토양소독으로 매개충인 총채벌레의 성충과 번데기

밀도를 초기에 낮춤과 동시에 주기적으로 방제

<노지고추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병 피해>

 


<배추좀나방>

2. 고랭지채소 무름병, 배추좀나방, 진딧물 등(예보)

○ 무름병은 비가 자주 오고 온․습도가 높게 지속되면

병균 감염에 유리한 조건이 되어 잎에 상처를 많이 받았던 포기에서부

터 발병되니, 예방위주로 적용약제를 7일 간격으로 2~3회 살포

 ○ 고랭지채소 포장을 중심으로 나방류 해충이 다발생하여 피해를 주

고있어 고온 지속시 해충피해가 급증할 우려가 있음

   - 고랭지채소 해충 방제시 천적을 고려하여 저독성 농약을 살포

3. 토마토 굴파리류(예보), 담배가루이(주의보)

<담배가루이 성충>

 ○ 아메리카잎굴파리는 침투성 적용약제를 돌려가며 7일 간격으로 3회 살포하고 예찰은 노란색 끈끈이트랩을 이용

 ○ 담배가루이는 노란색 끈끈이트랩을 이용하여 예찰하고 한 마리라

도 트랩에 유인되면 즉시 적용약제로 방제하여야 바이러스병으로 인

한 더 큰 피해를 예방할 수 있음


<포도 노균병>

4. 포도 갈색무늬병, 노균병, 탄저병(주의보)

○ 금년에는 장마가 길어 병 발생이 급증할 우려가

으니 잎 뒷면까지 정밀방제 하되 가급적 비오기 전후 중점 방제하고

수확 중인 과원에서는 농약안전사용기준을 반드시 준수


<꽃매미 성충>

5. 포도 꽃매미(예보)

 ○ 인근야산에 있는 꽃매미 성충이 포도밭에 날아와

일부 피해가 나타나고 있으므로 성충의 이동시기를 고려하여 포도나

무 잎 뒷면 및 주간까지 정밀방제 하되 수확기를 고려하여 농약안전사

기준을 준수하여 방제


<사과 탄저병>

6. 사과 갈색무늬병․겹무늬썩음병․탄저병․점무늬낙엽병, 복숭아 잿빛무늬병․세균성구멍병, 단감 탄저병(예보)

사과는 전반적인 병 발생은 적은 경향이나 갈색늬병과 겹무늬썩

음병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홍로 등 병 발생이 많은 품종은 탄저병 방

제에 유의

 ○ 복숭아는 장마기간을 지나면서 잿빛무늬병과 세균성구멍병 발생이 증

 ○ 단감은 장마시 강우로 습도가 높아 관리가 소홀한 과원은 탄저병

발생 및 확산이 우려되므로 적용 약제로 방제

 ○ 과원을 잘 살펴보아 비 오기 전후에 발생 상태에 따라 적용 약제로

방제하되, 수확기를 고려하여 농약안전사용기준 준수


7. 복숭아순나방(주의보), 복숭아심식나방, 사과굴나방, 진딧물, 노린재류, 응애류(예보)

<썩덩나무노린재>

 ○ 과실에 주로 피해를 주는 나방류와 노린재류의 밀도가 증가하고 있어 방제소홀시 피해가 우려됨

 ○ 노린재류는 대부분 과수원 외부에서 약충 상태로 번식하고 과수원

으로 날아오므로 과실위주로 자세히 살펴보고 발견되는 해충의 종류

에 따라 발생초기에 적용농약을 선택하여 방제

 ○ 응애류는 농약에 대한 내성이 강하므로 최근에 사용한 농약과 계

통이 다른 적용농약을 선택하여 잎 뒷면까지 고루 묻도록 충분한 양을

살포

8~9월 기상전망


기  상  청

□ 기  온

  ○ 평년(18~26℃)과 비슷하겠음

  ○ 8월 중순에는 평년과 비슷한 무더운 날씨를 보이겠으며 8월 하순

에는 상층 한기의 영향으로 평년보다 기온이 다소 낮은 경향을 보이겠

  ○ 9월 상순에는 평년과 비슷하겠음


□ 강수량

  ○ 평년(188~353㎜)과 비슷하겠음

  ○ 8월 중순에는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국지성 호우 가능성이 높겠음

  ○ 8월 하순과 9월 상순에는 대기불안정과 발달한 저기압의 영향으

지역에 따라 다소 많은 비가 오겠음


□ 기압계 전망

  ○ 8월 중순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으로 평년과 비슷한 무더운 날씨

보이겠으며 북쪽을 지나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중부지방을 중심으

로 국지성 호우 가능성이 높겠음

  ○ 8월 하순과 9월 상순에는 상층 한기의 영향으로 기온이 평년과 비슷

하거나 다소 낮은 경향을 보이겠으며, 대기가 불안정하여 국지성 호우

발생 가능성이 높겠고 발달한 저기압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내리는 곳이

있겠음

  ○ 8월 하순에는 강수량이 평년보다 많겠으나 9월 상순에는 강수량

평년과 비슷하겠음.


순별 예보

순별

날  씨

기  온

강수량

상순

구름 많겠음

평년(20~27℃)과 비슷

평년(39~133㎜)과 비슷

중순

구름 많겠음

평년(19~27℃)과 비슷

평년(44~112㎜)과 비슷

하순

흐린 날 많겠음

평년(18~26℃)보다 낮음

평년(78~155㎜)보다 많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