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주아를 이용한 증식방법 |
|
|
기관 : 농촌진흥청 |
|
성명 : 박희운 |
|
전화 : 031-299-2860 |
|
|
|
|
|
|
|
|
1. 마의 번식 |
|
|
가. 번식방법 |
|
|
마의 번식방법은 영양체인 주아(영여자)를 육묘하는 방법, 수확물인 덩이뿌리를 잘라 직파 또는 육묘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주아를 이용한 재배는 당년에 상품성 있는 마를 생산하기 어려우며 덩이뿌리 절편에 의한 재배는 덩이뿌리가 많이 소요된다. 또한 덩이뿌리는 부위에 따라 출아율의 차이가 있어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절편의 크기가 커야만 하며 특히 하부 즉 꼬리 부위를 이용할 경우에는 출현기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마의 상부 즉 머리부위는 생산이 한정되어 있어 재배면적이 확대될 경우 출아가 양호한 종근 확보가 쉽지 않다. |
|
|
|
|
|
|
|
|
|
|
그림 1. 주아가 달려있는 모습 |
그림 2. 덩이뿌리 절편의 발아상태 | |
|
|
|
|
|
|
|
|
나. 덩이뿌리의 부위별 출아율 |
|
|
덩이뿌리의 부위별 출아율은 싹틀 수 있는 눈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머리부위가 60~70%로 가장 높고 중앙부위는 평균 49%, 끝 부분인 꼬리부위는 평균25%에 그친다. 그리고 덩이뿌리 절편의 무게가 대체로 10g 이상이면 부위별 출아율에는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절편의 크기에 따라 수량 차이가 있으니 재배할 때에는 이점 유의하여야 한다. |
|
|
|
|
|
|
|
|
표 1. 덩이뿌리의 부위별 자른 크기에 따른 출아율 |
(단위 : %) | |
|
|
덩이뿌리 무게 |
머리부위 |
몸체부위 |
꼬리부위 |
평균 |
10g 20g 40g |
70 68 59 |
43 59 45 |
27 20 28 |
47 49 44 |
평균 |
66 |
49 |
25 |
- | |
|
|
|
|
|
|
|
|
다. 덩이뿌리의 부위별 지하부 수량 |
|
|
덩이뿌리의 절편을 이식하였을 경우 절편 부위별 또는 절편의 무게에 따라서 덩이뿌리의 수는 주당 2개미만, 덩이뿌리의 길이는 약 30㎝로 큰 차이가 없으나 덩이뿌리의 수량은 절편부위가 머리부위로 올라갈수록 높으며 또한 무게가 무거울수록 높아지는 경향이다. 특히 꼬리부위에 있어서는 무게가 10g일 때에는 수량이 낮으니 절편의 크기에 유의하여야 한다. |
|
|
|
|
|
|
|
|
표 2. 덩이뿌리의 부위별 자른 크기에 따른 지하부 수량 |
|
|
부 위 |
무 게(g) |
덩이뿌리수 (개/주) |
덩이뿌리의 길이(cm) |
덩이뿌리의 수량(kg/10a) |
머리부위 |
10 20 40 |
1.9 2.0 1.6 |
30 27 31 |
2,607 2,657 2,779 |
평균 |
1.8 |
29 |
2,681 |
몸체부위 |
10 20 40 |
1.7 1.7 1.8 |
32 29 28 |
2,471 2,586 2,643 |
평균 |
1.7 |
30 |
2,567 |
꼬리부위 |
10 20 40 |
1.9 1.6 1.7 |
26 28 28 |
2,129 2,607 2,686 |
평균 |
1.7 |
27 |
2,474 | |
|
|
|
|
|
|
|
2. 주아에 의한 증식방법 |
|
단마의 주아, 주아 1년생 및 종근을 크기별로 공시하여 3월 하순에 파종, 육묘하고 시비량을 10a당 질소 28㎏, 인산 28㎏, 칼리 30㎏과 퇴비 2,000㎏, 석회 100㎏으로 하여 4월 하순에 휴립 비닐멀칭재배한 결과 지상부 생육을 보면 덩굴길이 및 분지수는 주아 1년생 〉덩이뿌리 절편 〉주아를 이용한 재배 순으로 길거나 많아 주아 1년생을 이용하였을 때 지상부 생육이 가장 왕성하였다. 주당 덩이뿌리의 수는 덩이뿌리 절편을 이용하였을 때 가장 적고, 덩이뿌리의 수량은 주아 1년생을 이용하였을 때가 절편을 이용하였을 때보다 많다. 마의 덩이뿌리 수량증대를 위하여는 절편의 무게가 10g이상이어야 10a당 2,000㎏의 수량을 기대할 수 있으며, 주아 1년생 종근을 이용할 때는 무게가 19g이상인 것을 사용하면 10a당 2,000㎏의 덩이뿌리의 수량을 기대할 수 있다. 주아 1년생 종근이 부족할 경우에는 2.0g이상인 주아를 선별하여 재배하면 당년에도 10a당 1,600㎏의 덩이뿌리 마를 수확할 수 있으며 이때 상품가치 없는 마는 이듬해 종근으로 이용할 수 있다. |
|
|
|
|
|
|
|
|
|
그림 3. 주아의 초기생육 |
그림 4. 주아를 이용한 육묘광경 | |
|
|
|
|
|
|
|
표 3. 주아 및 덩이뿌리 절편 크기에 따른 생육 및 수량 |
|
구 분 |
무 게 |
덩굴길이 (cm) |
분지수 (개) |
주아생산량 (kg/10a) |
덩이뿌리수 (개/수) |
덩이뿌리수량 (kg/10a) |
주 아 |
소 0.7g 중 1.1g 대 2.0g |
191 209 227 |
1.6 1.5 1.4 |
8 11 13 |
1.5 2.1 2.0 |
940 1,421 1,607 |
주 아 1년생 |
소 19g 중 37g 대 65g |
247 251 262 |
1.7 1.9 2.2 |
135 271 362 |
1.8 1.8 2.0 |
2,040 2,210 2,419 |
덩이뿌리 절편 |
소 5g 중 10g 대 15g |
236 242 248 |
1.7 1.6 1.8 |
11 78 158 |
1.6 1.5 1.5 |
1,862 2,107 2,257 | |
|
|
|
|
|
|
|
참 고 문 헌 |
|
|
|
김정곤 외. 1993. 마 괴근의 절편부위와 크기가 출아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박래경 외. 1988. 작물재배의 신기술. 특용작물편. 농진회. IITA. 1982. Tuber and root crops production manual. Manual series No. 9. International Institute of Tropical Agricultu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