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국의 과일 ‘게욱’을 아시나요?(농진청) 천국의 과일 ‘게욱’을 아시나요? 2011-02-01 - 열대과일 ‘게욱’ 우리나라에서도 재배 청신호 - 천국의 과일로 불려지는 열대과일 ‘게욱(Geuk, Gac)’이 국내에서도 재배 가능한 것으로 드러났다. 농촌진흥청은 지난해 4월 종자를 심어 무가온 하우스에서 재배해온 ‘게욱’이 1월 현재 붉은색 과일들이.. 유익한 농사정보 2011.02.05
75가지 산채류 활성성분 및 관련 논문·특허 등 수록 책자 발간(농진청) 75가지 산채류 활성성분 및 관련 논문·특허 등 수록 - 농촌진흥청은 산채류에 들어있는 천연생리활성물질의 성분과 효능 등을 알기 쉽게 정리한「천연생리활성화물질 함유 국내 산채류」란 책을 펴냈다. 총 280쪽 분량의 이 책에는 곰취, 달래, 산부추, 씀바귀, 참나물 등 75가지 산채류에 대한 특징 및.. 유익한 농사정보 2011.01.31
국내산 ‘열대’과일과 채소시대 열린다(농진청) 국내산 ‘열대’과일과 채소시대 열린다 2011-01-27 - 농진청, 온난화 적응 열대·아열대작물 15종 도입, 선발 - 농촌진흥청에서는 지구온난화로 한반도의 아열대기후 지역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기후변화에 적응하는 미래농업기술 연구를 추진한 결과, 지금까지 총 15종의 열대·아열대 작물을 도입·선.. 유익한 농사정보 2011.01.28
농촌진흥청, ‘품종통합정보’ 서비스 개시 ‘품종’에 대한 궁금증 해결해드립니다 2011-01-07 - 농촌진흥청, ‘품종통합정보’ 서비스 개시 - 농업을 경영하는 분들의 공통적인 관심사항은 최근 개발된 품종을 최대한 빨리 입식하여 소득을 창출하는 것이다. 그러나, 고객의 불만은 원하는 작목의 품종정보를 찾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이러한 .. 유익한 농사정보 2011.01.07
감자 더뎅이병, ‘서홍’으로 걱정 뚝!(농진청) 감자 더뎅이병, ‘서홍’으로 걱정 뚝! 2011-01-05 - 농진청, 농가 조기보급 위해 시범사업 추진 중 - 농촌진흥청은 최근 국내 감자재배농가에 큰 피해를 주고 있는 더뎅이병에 강하고 수량성도 우수한 ‘서홍’ 감자를 육성해 농가에 조기 확대 보급하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감자 더뎅이병은.. 유익한 농사정보 2011.01.07
농진청,「유기농기술 손쉽게 따라하기」발간 최신 유기농 기술 직접 따라 해보세요 2011-01-04 - 농진청,「유기농기술 손쉽게 따라하기」발간 - 최신 유기농업 기술을 모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한 책이 발간됐다. 농촌진흥청은 유기농 재배기술 보급을 위해 다양한 작물에 공통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유기농 기술 모음집 「유기농기술 손쉽게 따라하.. 유익한 농사정보 2011.01.06
농진청, 건강한 장미묘를 위한「병해충 관리 매뉴얼」발간 병해충 없는 ‘장미묘’ 생산 지침서 나와 2010-12-31 - 농진청, 건강한 장미묘를 위한「병해충 관리 매뉴얼」발간 - 농촌진흥청은 장미 건전묘 생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병해충에 대한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매뉴얼을 발간했다고 전했다. 장미는 국내 화훼 생산액의 14.4%를 차지하는 .. 유익한 농사정보 2011.01.03
생명공학기술 이용 칼슘 증진 유전자전환체 획득(농진청) 고두병 해결하는 ‘칼슘사과’ 개발 가능해져 2011-01-03 - 생명공학기술 이용 칼슘 증진 유전자전환체 획득 - 농촌진흥청은 일반 사과에 생명공학기술을 적용시켜 칼슘함량이 증가된 사과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사과는 과일의 여왕으로 불릴 만큼 영양성분이 풍부해 고혈압 예방, 다이어트 .. 유익한 농사정보 2011.01.03
화분매개기술’로 작물의 생산성·상품성 높인다(농진청) ‘화분매개기술’로 작물의 생산성·상품성 높인다 2010-12-21 - 농진청, ‘작물별 맞춤형 화분매개곤충 현장활용법’ 보급 - 자연상태에서 과수·과채 수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가들을 위한 ‘작물별 맞춤형 화분매개곤충 현장활용법’이 작물의 생산성 및 상품성을 높여 농가소득 증대에 큰 도움.. 유익한 농사정보 2010.12.27
추위에 약한 ‘복숭아나무’ 동해 대비해야 (농진청) 추위에 약한 ‘복숭아나무’ 동해 대비해야 2010-12-27 - 올해 1월 동해가 심했던 중·북부지역 각별히 신경 - 농촌진흥청에서는 올해 1월에 동해를 받아 수세가 약해진 복숭아 과수원에서 이번 겨울 2차 동해 발생 가능성이 높기에 미리 동해에 대비할 것을 당부했다. 복숭아는 사과, 배 등 다른 작목에 .. 유익한 농사정보 2010.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