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촌진흥청, 나무좀 예찰 강화 및 방제 당부 -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봄철 복숭아·포도·자두나무에서 발생했던 나무좀이 가뭄이 지속되면서 나무자람세가 약해진 나무에 침입한 것으로 나타나 예찰 강화와 방제에 집중해 줄 것을 당부했다.
나무좀은 기온이 20℃ 전후로 오르는 4월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겨울을 지난 어른벌레가 나무줄기에 직경 1mm∼2mm의 구멍을 뚫고 들어가 줄기 속을 갉아먹어 잎이 시들며, 심할 경우 나무가 말라죽는다. 특히, 어른벌레가 줄기로 들어갈 때 공생균인 ‘암브로시아균’도 함께 들어가 나무가 빠른 속도로 말라죽게 한다.
봄철에는 과원 전체에 방제를 해야 하지만 여름철에는 말라죽은 나무나 태풍으로 가지가 찢어지는 등 부분적으로 나무좀 피해가 집중되기 때문에 꼼꼼하게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초생재배1)를 할 경우 나무줄기에 나무좀이 뚫어 놓은 구멍을 관찰하기 힘들어 피해가 커지기도 하므로, 자주 풀을 베어주는 것이 좋다.
특히, 복숭아·포도·자두나무 등은 수확이 끝난 뒤 관리가 안 되면 나무목질부2)의 조직이 죽으면서 수액이 누출된다. 이때 수액에서 나무좀이 좋아하는 알코올 냄새가 방출되면서 나무좀을 끌어들인다.
나무좀은 수분 스트레스, 고온 등으로 나무자람세가 약해진 나무에 집중적으로 침입하기 때문에 물대기, 빛가림 시 토양과 양분 관리로 나무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가뭄이 심할 때는 수확 후에도 물대기를 해준다.
나무좀 방제를 위한 약제 중 유기인계나 합성피레스로이드 계통을 수확 후에도 뿌려주면 이듬해 나무좀 발생과 피해를 28% 이상 줄일 수 있다.
농촌진흥청 작물보호과 김광호 연구사는 “나무좀 방제는 꼼꼼한 예찰, 약제 방제와 나무 주변을 청결히 하면 효과가 크다.”라며, “수확 후 철저한 관리를 통해 이듬해 나무좀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야 한다.”라고 당부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과수원 같은 곳에서 깨끗이 김을 매주는 대신에 목초, 녹비 등을 나무 밑에 가꾸는 재배법.
2) 나무목질부 : 나무의 구조 중에서 물과 양분을 이동시켜 주는 통로 역할을 하며, 단단한 기둥 역할을 함으로써 나무를 지탱해 주는 부분.
[문의] 농촌진흥청 재해대응과장 박동구, 재해대응과 이용환 063-238-1046
작물보호과장 이상집, 작물보호과 김광호 063-238-3288
원예특작환경과장 박진면, 원예특작환경과 양창열 063-238-6331
'텃밭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품질 우수한 수출용 국산 단감 '로망' 품종 (농진청) (0) | 2015.10.22 |
---|---|
삼채, 혈당·체지방 낮추고 뼈 건강 높인다 (농진청) (0) | 2015.09.18 |
버려지던 고구마 잎, 기능성 식품소재로 재탄생(농진청) (0) | 2015.08.27 |
까맣게 잘 익은 국산 포도 '흑보석' 만나보세요(농진청) (0) | 2015.08.21 |
늦더위, 약초 청으로 입맛과 건강 챙기세요 (농진청) (0) | 2015.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