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품종 선택 | |||||||||||||||||
마늘은 지금까지 인편이나 주아 등 영양기관을 이용하여 번식을 하여 왔는데, 한 지역에서 오랫동안 마늘을 재배하면서 그 지역의 환경이나 풍토에 적응된 품종만이 주 품종으로 자리잡게 됨으로서 하나의 생태적 품종으로 되었다. 따라서 처음 품종을 선택할 때에는 그 지방의 기상이나 토양 및 재배환경 등이 비슷한 곳의 우량 품종을 선택하여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주요 품종의 특성은 표 1과 같다. | |||||||||||||||||
표 1. 마늘 주요 품종의 특성 품종명 | |||||||||||||||||
| |||||||||||||||||
겨울이 길고 온도가 낮은 중부내륙지방에 재배되고 있는 한지형 마늘을 난지에 재배하면 저온요구도를 충족시키지 못하여 구가 충실히 비대하지 못하고, 반대로 겨울이 비교적 온난한 남부해안지방에 재배되고 있는 난지형 마늘을 한지에 재배하면 겨울동안에 언피해를 받아 출현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월동 후 생육이 지연되어 수량이 감소된다. | |||||||||||||||||
2. 씨마늘 갈무리 | |||||||||||||||||
3. 씨마늘 고르기 | |||||||||||||||||
4. 씨마늘 소독 | |||||||||||||||||
벤레이트티 400배액+디메토유제 1,000배액에 1시간 정도 담갔다가 그늘에서 말린 다음 파종한다. 마늘에서 발생되는 대부분의 병해충은 종구를 통하여 감염되므로 종구소독을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 |||||||||||||||||
5. 파종방법 | |||||||||||||||||
가. 밭 만들기 | |||||||||||||||||
|
마늘의 뿌리는 곧게 자라므로 뿌리가 쉽게 뻗을 수 있도록 깊게 갈아 주어야 한다. 파종 1~2주일 전에 퇴비와 석회를 밭 전면에 골고루 뿌린 다음 깊이 간다. 파종 1~2일 전에 화학비료 및 토양 살충제를 고루 뿌리고 땅을 고른다. | ||||||||||||||||
나. 심는 거리 | |||||||||||||||||
마늘의 줄기는 곧게 자라므로 밀식에 견디는 힘이 강하다. 따라서 배게 심을수록 단위 면적당 수량은 증가하나 작은 마늘통이 많아져 상품성이 떨어진다. 재식거리는 마늘쪽의 크기에 따라 다소 다르나 5~7g짜리 씨마늘의 경우 줄사이는 20㎝, 포기사이는 10㎝가 알맞으며, 120㎝이랑 폭에 고랑을 30㎝로 하면 10a당 40,000개 정도의 마늘쪽을, 40㎝인 경우는 37,500개의 마늘쪽을 파종할 수 있다. | |||||||||||||||||
다. 심는 방법 | |||||||||||||||||
마늘 심을 골을 6~7㎝ 깊이로 파고 심는다. 뿌리부분이 밑으로 가도록 심어야 하며 옆으로 비스듬히 심거나 거꾸로 심으면(그림 1) 마늘통의 모양이 비뚤어져 상품가치가 떨어진다. 너무 깊게 심으면 싹이 늦게 나오고 또 너무 얕게 심으면 뿌리가 흙을 차고 마늘쪽이 땅위로 올라와 겨울동안 언피해를 받거나 김매기를 할 때 뿌리나 엽초부가 상할 염려가 있다. | |||||||||||||||||
![]() | |||||||||||||||||
그림 1. 뿌리가 날 부분을 위로 해서 심었을 때수확한 마늘 통 모양
| |||||||||||||||||
참 고 문 헌 | |||||||||||||||||
농촌진흥청. 2001. 마늘재배. 표준영농교본. 117. | |||||||||||||||||
이우승 외. 1994. 백합과채소재배기술. |
'텃밭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과 꽃눈분화 확인 후 ‘가지치기’ 하세요(농진청) (0) | 2011.01.14 |
---|---|
고랭지농업 재도약을 위한 기능성 신작물 개발 박차(농진청) (0) | 2010.11.12 |
도시농부 꿈꾸는 자를 위한 필독서 발간(농진청) (0) | 2010.10.25 |
텃밭에 심는 ‘토종약초 7선’ 선보여(농진청) (0) | 2010.09.06 |
농약 없이도 ‘벌레 먹지 않은’ 텃밭채소 기른다(농진청) (0) | 2010.07.09 |